무릎 관절 지키는 최선의 방법은 '이곳' 근육 기르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릎에는 대퇴골·경골·슬개골 등이 있어서 대퇴골과 경골의 앞뒤 부분은 십자인대, 옆 부분은 측부인대가 잇는다.
무릎 부상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허벅지 근육을 기르는 것이다.
허벅지 근육이 튼튼하면 무릎이 뒤틀려도 인대나 연골판이 쉽게 다치지 않는다.
마라톤은 장시간 달리는 수직운동이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계속 압력이 가해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릎에는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이 몰려 있다. 무릎 관절, 어떻게 건강하게 유지할까?
무릎에는 대퇴골·경골·슬개골 등이 있어서 대퇴골과 경골의 앞뒤 부분은 십자인대, 옆 부분은 측부인대가 잇는다. 뼈 사이에는 관절 연골과 반월상 연골이 있어서 충격을 흡수한다. 하지만 밑이 둥근 대퇴골과 위가 편평한 경골은 딱 맞물려 있지 않기 때문에 불안정하다. 작은 충격만 받아도 인대와 연골판이 쉽게 손상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앞·뒤·좌·우로 빠르게 자주 움직이는 운동을 할 때 무릎을 많이 다친다. 무릎 부상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허벅지 근육을 기르는 것이다. 허벅지 근육이 튼튼하면 무릎이 뒤틀려도 인대나 연골판이 쉽게 다치지 않는다. 허벅지 근육 강화 운동으로는 레그 익스텐션, 레그 컬, 스쿼트 등이 있다.
마라톤을 할 때도 무릎을 많이 다친다. 마라톤은 장시간 달리는 수직운동이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계속 압력이 가해진다. 달리기를 할 때 무릎에는 평소의 3~5배 하중이 실린다. 빨리 달리면 하중은 더 크다. 따라서 보폭을 좁게 해서 종종걸음 하듯이 달리는 게 좋으며, 쿠션이 좋은 운동화를 신는 게 좋다. 마라톤에 앞서 허벅지 근육 강화 운동도 반드시 해야 한다. 초보자는 짧은 코스를 달리면서 허벅지 근육을 기른 다음에 점차적으로 거리를 늘려 나가는 게 좋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운동 전후 필요한 스트레칭이 다르다?
- 무심코 하는 '이 자세'.. 무릎 노화 앞당겨
- 무릎 관절염 환자, '이 병' 있으면 통증 더 심해진다
- 요즘 부쩍 '가느다랗게' 나오는 대변… '이것' 부족하단 신호
- 비만약 주사 안 맞을 수 있을까… 노보, 먹는 약 개발 박차
- 우울증 치료 후에도 행복하지 않은 이유
- ‘이 고양이’ 방 청소 잘 하는 사람만 길러야… 천식에 취약 [멍멍냥냥]
- 직장인 주목! 과로하면 나타나는 신체 변화, ‘그림’으로 살펴봤다
- ‘15kg 감량’ 40세 한지혜, 다이어트 ‘아침 식단’ 공개… 뭔가 봤더니?
- 종아리에 핏줄 비치면 하지정맥류? ‘이 증상’ 있어야 의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