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스러우니 주차하지 마세요' 그 이후

정용인 기자 2021. 6. 20. 08: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기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애니·게임 캐릭터 래핑차에 누군가 주차하지 말아달라고 붙인 메모. 확인해보니 2019년 5월 15일 일어난 일이다. /루리웹


[언더그라운드.넷] ‘혐오스러우니 여기 주차하지 마세요.’ 논란을 처음으로 접한 것은 2년 전이었다.

트위터에 올라온 글이었는데, 원본 글이 삭제돼 더 이상 추적이 힘들었다. 인터넷커뮤니티에서 다시 이 ‘논란’을 만난 건 6월 15일. 이 코너에서 다루는 사건 대부분이 그렇듯, 인터넷 밈은 끈질기게 살아남아 돌고 돈다. 이번엔 저 사진에 얽힌 사연을 확인할 수 있을까.

“기사를 안 썼으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기사가 나가지 않아도 이야기는 계속 돌 거 아닙니까. 거기에 새로운 떡밥을 뿌려 다른 이야기가 나올 바에야, 그냥 없던 일로 쳤으면 좋겠습니다. 연락을 준 것은 감사하지만.”

물어물어 연락이 닿은 사건 당사자의 취재거부 의사다. 이 코너에서 취재 당사자의 거부로 기사화하지 못하고 묻은 케이스는 꽤 된다. 당장 떠오르는 건 ‘빌린 돈 갚지 마라’ 책 저자의 근황취재다. 결국 어렵게 설득했다.

일본에서 기원해 한국에도 전해진 인터넷 서브컬처 중 이타샤라는 것이 있다.

만화나 게임의 CG, 캐릭터나 로고 등을 자동차 차체에 붙여 장식하는 문화다. 얼핏 생각하면 쉬울 것 같지만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만천하에 ‘이 차의 소유주는 오타쿠’라고 선언하는 셈이 되는 거니까.

원래의 어원도 그렇다. 애처롭다는 뜻의 이타마시이(痛ましい)에 차(車)를 결합해 만들어진 말이다. 한 애니메이션 자막에서는 ‘안습차’라고 번역했다. 당사자 입장에선 밖에서 오덕들을 보는 부정적 시선에 맞서 ‘그래 나 오타쿠인데, 어쩔래?’ 정도의 의미가 된다.

따지고 보면 지난 해 쯤인가, 서울시에서 히트를 친 타요버스나 제주 렌트카 업체에 있다고 하는 라바소나타도 넓게 보면 이타샤가 되겠다.

몇년 전 화제가 되었던 제주 렌트카업체의 ‘라바소나타’도 일종의 이타샤로 볼 수 있다. /제주고속 공식블로그

불법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지만, 소방차와 같은 긴급자동차와 혼동을 우려해 두가지 색 이상 도색을 제한하던 법 조항이 개정된 건 한참 전 일이다. 광고목적으로 래핑한 차량을 길거리에서 목격하는 일도 흔하다.

‘혐오스러우니 여기 주차하지 마세요.’ 처음 논란으로 돌아가자.

이번에 취재하면서 확인해보니 차주 모씨가 자신의 차량 창문에 누군가 손글씨로 메모를 끼워넣은 것을 발견한 것은 2019년 5월 16일. 지금으로부터 2년여 전이다.

당시 그 메모를 보고 화가 났다고 차주 모씨(24·회사원)는 덧붙였다.

거주자 우선구역도 아니고 자신의 집 앞에 세워놓은 차를 주차하지 말라면 어디로 가란 말인가.

“경찰에 신고하려고 CCTV를 확인해보니 같은 건물에 살던 분이었습니다. 오후 10시에 잠옷을 입고 나와 메모를 붙여놓았는데….”

그래서 결국 어떻게 됐을까.

“흐지부지됐죠. 저도 꼭 잡아달라는 말은 아니었어요. 커뮤니티에 사진이 퍼지고 말이 많이 나오니 경찰에 ‘수사 종결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 뒤로는 저도 차를 바꿨고요.”

사건에 대해 누리꾼 반응을 보면 차주를 옹호하는 반응만 있는 건 아니다.

당장 6월 15일 인터넷커뮤니티에 올라온 반응만 하더라도 ‘혐오할 만한 여지가 있는데?’라는 의견도 많다.

‘주차혐오’ 논란이 되었던 차량. 구형 티뷰론에 게임 ‘벽람항로’ 캐릭터 허먼을 래핑한 것이었다. 누리꾼 댓글을 보면 ‘혐오할만 하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이 차는 그 뒤 더이상 운용되지 않고, 경기도 광주의 한 튜닝전문샵 앞에 전시되어 있다./트위터


“경찰서에 가서 물어봤어요. 이런 식의 래핑이 문제가 되느냐고요. 경찰관은 노출이 있거나, 피를 흘리거나 가학적인 이미지를 사용했을 때는 제재가 들어갈 수도 있답니다. 그런데 제가 한 래핑은 노출이 없기 때문에 불법으로 보기 어렵다더군요.”

페도필리아(소아성애증) 아니냐는 의심도 있던데?

“아니에요. 저 페도 아닙니다. 캐릭터만 놓고 그렇게 볼 수 있는데(당시 그의 차량에 래핑돼 있던 캐릭터는 게임 ‘벽람항로’의 캐릭터 허먼으로, 미국 역사 속 군함 허먼을 모에화한 캐릭터다) 그분들이야 제가 무슨 말을 해도 로리콘(미성년 소녀에 대한 성적인 관심을 의미하는 롤리타 콤플렉스의 일본식 줄임말)으로 볼 것이기 때문에 그런 분들은 신경 안 쓸 겁니다.”

사건 뒤 그는 그 집에서 이사했다. 지금 타는 차도 ‘벽람항로’ 허먼 캐릭터로 래핑했다.

여전히 욕하는 사람들은 많다.

“며칠 전에도 도로를 달리고 있는데 지나가던 차가 유리창을 열고 ‘일본 애니 그만 봐’라고 소리 지르더라고요. 저런 사람도 있구나 했습니다.”

건투를 빈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