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박재영 광운대 교수팀, '사용자 식별' 스마트 키보드 개발
정지형 기자 입력 2021. 06. 24. 18:07기사 도구 모음
박재영 광운대 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나노발전기 기반 무전원 스마트 키보드' 개발에 성공했다.
24일 광운대에 따르면, 연구팀은 키 입력(Keystrokes) 역학 기반 전자기력-마찰전기 하이브리드 나노발전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인증 보안기술을 만들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박재영 광운대 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나노발전기 기반 무전원 스마트 키보드' 개발에 성공했다.
24일 광운대에 따르면, 연구팀은 키 입력(Keystrokes) 역학 기반 전자기력-마찰전기 하이브리드 나노발전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인증 보안기술을 만들었다.
키 입력(Keystrokes) 역학 기술은 키보드를 치는 리듬에 따라서 개인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키보드를 누르는 기계적 에너지에 비례해 생성된 전기 신호는 인공 신경망 기반 인공지능(AI) 시스템에 공급돼 생체 정보로 변환됨으로써 개인을 식별할 수 있다.
여러 실험 참가자가 공통된 암호를 입력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식별하는 실험에서 99%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키보드는 비밀번호 보안 방법과 동시에 사용해 이중으로 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개별 센서 기반 보안과 비교해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광운대는 "연구팀은 비밀번호가 유출돼도 안전하게 정보를 보호하고 사용자를 식별·인증을 할 수 있는 높은 사이버 보안 계층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 기술개발사업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응용 연구 전문 저널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6월호에 실렸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하승진 "모텔 데이트하다 아이 생겨…장인 어른 담배만 뻑뻑"
- "난 삼류선수, 정반대로 가르쳤다"…손흥민 월드클래스로 만든 父의 비결
- 김어준 "尹 산책 사진을 시민이 찍어 올렸다?…비선라인 포진한 듯"
- 한동훈 맨 '훈민정음 넥타이' 어디 거?…반전 가격 '깜짝'
- 그리 "새어머니, 평생 누나라 부를 순 없어…호칭 노력 중"
- 재벌동네 성북동에 500평 저택 신축…30대 女주인 정체 '깜짝'
- "교수님 부친상, 1~4학년 1만원씩 걷어 부조"
- 김지민 "♥김준호 출연료, 서장훈의 반의반"
- 5만원 안경끼고 경호견과 '찰칵'…김건희 일상
- 니코틴 원액 먹여 남편 살해한 女 '징역 3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