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의 폐교, 지역 소멸.."수도권 쏠림 현상도 심화"

김수연 2021. 6. 28. 06: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교육부는 지난달 대학의 '정원 관리'를 공식화했습니다.

일정 학생 충원율에 미치지 못하면 '정원 감축'을 권고하고, 부실 정도가 심한 대학은 회생 불능 시 폐교까지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단순한 구조조정만이 해법일까요?

이어서 김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재단 비리와 학생 수 감소로 재정지원이 제한되면서 2018년 문을 닫은 한중대.

매각이 어려운 교육용 자산이 3년 넘게 방치되면서, 캠퍼스는 폐허가 됐습니다.

[한중대 전 교수/음성변조 : "(건물의) 천장이 다 뚫어진 거예요. 보니까 거기서 (도둑이) 전선을 꺼냈고, 그 전선을 가져와서 거기서 피복 작업을 다 한 거예요."]

교직원 약 2백 명의 체불임금은 원금과 이자를 합쳐 6백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한중대 전 직원 : "(폐교 돼서) 취업을 할 기회라든가 그런 부분도 전혀 없었고. 갑자기 생계가 막막해지는 생활고에 많이 시달렸죠."]

젊은 학생들은 인근 대학으로 편입했지만, 만학을 꿈꾸던 동해시민들은 교육의 기회를 잃었습니다.

[한중대 전 교수/음성변조 : "지방대학엔 대개 만학도들이 많아요, 사실. 그런 분들이 거의 (학업을) 포기한 상태가 되는데. 예를 들면 강릉이라 해도 여기서 한 시간 이상 걸려요. 거기서 오라고 그래도 못 가는 상황입니다."]

2000년 이후 폐교된 대학은 모두 18곳, 1곳을 빼고는 모두 비수도권으로, 대부분 강제 폐교됐습니다.

교육여건이 좋지 않아 내년도 '재정지원 제한 대학'으로 지정된 학교도 18곳 가운데 14곳이 비수도권에 몰려 있습니다.

부실대학의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야 하지만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현실.

경쟁력 있는 지방대 육성을 위한 정책도 함께 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임희성/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 : "폐교에 대한 부분을 전략적으로 주된 방향으로 가져가기보다는 최소화해야 하고요. 이번 기회에 정원 감축을 통해서 교육의 질을 올리려고 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부문 중 정부 재원은 GDP 대비 0.6%, OECD 국가 평균인 1%도 채 되지 않는 수준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그래픽:김지훈

김수연 기자 (sykbs@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