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팅공정으로 오래쓰는 '열전소재' 만든다

2021. 6. 28. 12: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연구진이 성능이 오래 지속되면서 가볍고 유연하며 인쇄 공정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 열전소재를 개발했다.

고분자 소재는 보통 전기가 잘 흐르지 않는데, '폴리티오펜'이라는 특정 고분자 소재에 다른 물질을 첨가하면 열전 성능이 향상되어 최근 이를 활용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개발된 유기열전소재는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향후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센서, 사물인터넷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화학연 조성윤 박사팀, 유연 열전 소재 개발
- 웨어러블기기·IoT·스마트센서 적용 기대
슬롯 다이 프린팅으로 열전소자를 제작하는 과정.[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연구진이 성능이 오래 지속되면서 가볍고 유연하며 인쇄 공정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 열전소재를 개발했다.

열전 소재는 열을 가했을 때 전기가 발생하는 소재, 또는 역으로 전기를 주입했을 때 열을 발생시키거나 냉각시켜주는 소재를 말한다. 열전 소재로는 크게 무기 소재, 유기 소재 등이 있는데 최근 고분자로 이루어진 유기 소재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진행되고 있다. 유기 소재는 무기 소재에 비해 가볍고, 잘 휘어지며, 상온에서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 열전 소재 중 대표적인 것이 ‘폴리티오펜’이라는 고분자 소재다. 고분자 소재는 보통 전기가 잘 흐르지 않는데, ‘폴리티오펜’이라는 특정 고분자 소재에 다른 물질을 첨가하면 열전 성능이 향상되어 최근 이를 활용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폴리티오펜을 활용한 소재는 일주일만 지나도 열전 성능이 80% 이상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 중의 산소, 수분 등 때문이다.

화학연 조성윤 박사팀은 공기 중에 3주 이상 노출돼도 열전 성능을 유지하는 새로운 폴리티오펜 활용 소재를 개발했다. 공기 중에서 장시간 성능이 지속되는 폴리티오펜 열전 소자 제작은 처음이다.

연구팀은 ‘폴리티오펜’ 소재 위에, 소량의 염화금을 녹인 용액을 도포했다. 폴리티오펜 소재와 염화금이 만나면 화학반응이 일어나 염화금 이온과 금 나노입자가 생성되면서 독특한 고분자 결정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 결정 구조 속 염화금 이온은 열전 성능을 높여주고, 금 나노입자는 열전 성능이 오래 유지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연구팀은 가장 오래 성능이 지속될 수 있는 염화금 농도를 찾아, 극소량만 도포해도 성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했다.

이 소재는 신문을 인쇄하듯 찍어내는 프린팅 공정으로 상온에서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면적이 넓은 칼날이 붓처럼 소재를 바르는 방식의 ‘슬롯 다이 프린팅’으로 폴리티오펜 소재를 찍어낸 후, 그 위에 염화금 용액을 도포하는 형태다.

연구팀이 제작한 유연열전소자.[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개발된 유기열전소재는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향후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센서, 사물인터넷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나 선박에 적용하면 폐열을 전기로 생산할 수 있다.

글로벌 마켓 리서치 회사 IDTechEx에 따르면 열전소자 전체 세계 시장규모는 2018년 2억 7400만 달러에서 2022년에는 7억 4600만 달러로 연평균 약 54%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조성윤 박사는 “이 소재는 전기전도성도 좋고 성능이 오래 지속돼 향후 다른 전극 소재로도 적용이 확장될 수 있다”며 “향후 웨어러블 기기나 센서의 자가전원으로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4월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