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박재영 광운대 교수팀, 3차원 다공성 그래핀 '전극소재' 개발
정지형 기자 입력 2021. 07. 20. 18:06 수정 2021. 07. 21. 08:49기사 도구 모음
박재영 광운대 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3차원 다공성 그래핀 유연전극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또 해당 3차원 다공성 그래핀 유연전극 소재를 이용해 고성능 웨어러블 암 진단 센서와 심전도(ECG) 센서 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광운대는 "3차원 다공성 유연전극 소재의 우수한 특성과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작 공정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박재영 광운대 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3차원 다공성 그래핀 유연전극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20일 광운대에 따르면, 박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레이저 가공과 코팅 기술만 이용해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 있어 저가화와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3차원 다공성 그래핀 유연전극 소재는 웨어러블 의료·헬스케어 센서와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에 사용되는 핵심 기술이다.
레이저 가공기술로 만들어진 3차원 다공성 그래핀 플레이크는 상호 연결이 불안정해 전기 전도성이 일정하지 않고 기계적 강도가 약해서 상용화 기술로는 한계가 있었다.
박 교수 연구팀은 폴리아지리딘으로 캡슐화한 포스포린을 3차원 다공성 그래핀에 코팅해 불균일한 전기 전도성과 쉽게 깨지거나 변형되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또 해당 3차원 다공성 그래핀 유연전극 소재를 이용해 고성능 웨어러블 암 진단 센서와 심전도(ECG) 센서 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광운대는 "3차원 다공성 유연전극 소재의 우수한 특성과 대량생산이 가능한 제작 공정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기능성 소재·소자 연구 전문저널인 독일 와일리에서 출판하는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6월호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이효리 "시험관 하고 싶진 않아…부부싸움 후 집 나간 적도"
- 귀국 앞둔 이근 "내 욕 열심히 했냐? 아직 살아있어 미안"
- "김지민 최애음료, 아바라" ♥ "김준호 집은 제2 나의 집"
- 박지현 "586 정치인 사명 다했다…용퇴하고 팬덤정치 끝내야"
- "오직 신란희"…80세 윤문식 팔에 18세 연하 아내 이름 타투
- 신호대기 차량에 자주포 탱크 '쾅' 날벼락
- '탕웨이와 작업' 박찬욱 "왜 정사신 없냐고?"
- '주식투자 동업' 의사 살해 뒤 양산 밭 암매장한 40대 여성 기소
- '성매매 온 채팅남' 생중계한 여장남자의 최후
- 男 초등생, 여학생 화장실 옆칸서 불법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