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배민시키고, 넷플릭스 본다" 온라인 소비 확 늘은 5060

전선형 입력 2021. 8. 4. 14:42 수정 2021. 8. 4. 2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060세대가 새로운 온라인 소비 주역으로 떠올랐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앱, OTT(인터넷을 통한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등 온라인 상품 전역에서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달앱 이용,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구독 많아져
2030세대는 온라인서 '명품구매·중고거래' 동시 늘어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5060세대가 새로운 온라인 소비 주역으로 떠올랐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앱, OTT(인터넷을 통한 미디어 콘텐츠 제공 서비스)등 온라인 상품 전역에서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세대별 온라인 소비 행태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2019∼2020년 2년치 하나카드(개인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온라인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내용이다.

“온라인 결제 편하네...”편리함에 눈뜬 중장년층

보고서에 따르면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의 온라인 소비가 확 늘어났다. 전체 온라인 카드 결제 규모를 30대 이하와 40대 이상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30대 이하 연령층은 2019년 대비 약 24% 증가한 데 반해 40대 이상 중장년층이 약 49% 증가했다. 2배 이상의 증가율이다.

특히 쿠팡, 지마켓, 11번가, 옥션 등과 같은 종합 쇼핑몰의 40대 이상 결제 규모 증가율이 30대 이하 보다 약 1.8배 이상 높았다. 오프라인 매장을 선호하던 40대 이상의 중장년층도 온라인 소비문화가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젊은 세대 위주로 사용되던 배달앱과 OTT서비스 분야도 50~60대의 소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의 배달앱 서비스 결제 규모는 2020년에 전년대비 163% 증가, 60대는 142% 증가했고, OTT 서비스 결제 금액은 50대는 181%, 60대는 166% 증가했다.

또한 홈인테리어 관련 소비도 2019년 대비 50대는 80%, 60대는 40% 증가하는 등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50~60대 ‘액티브 시니어’가 새로운 소비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심비·가성비 동시 추구하는 2030

온라인 소비에 익숙한 2030세대는 명품과 중고거래 비중이 함께 증가하며 가심비·가성비를 동시에 추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전체 온라인 명품 결제 규모의 약 55%는 2030세대가 차지했다. 명품 브랜드가 운영하는 온라인 스토어와 종합 명품 쇼핑 플랫폼 등을 통한 20, 30대의 온라인 명품 소비 규모는 2020년에 전년 대비 각각 80%, 75% 증가했다. 특히 20~30대의 중고명품 소비는 오히려 줄어들어 ‘한정판’, ‘찐’ 등 보다 희소성을 추구하는 소비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세대의 중고거래도 활발했다. 온라인 중고거래 규모도 20, 30대가 약 61%을 차지했다. 특히 중고폰 거래 플랫폼의 경우 30대의 소비가 231% 증가했고 번개장터 등과 같은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의 20대 소비는 111% 증가했다. MZ세대에 해당하는 20, 30대는 명품에 대한 수요도 많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중고거래를 통한 알뜰 소비에도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지난해 지속된 코로나19 여파로 중장년층도 적극적으로 온라인 소비 활동을 확대하고 있으며 다른 연령대에 비해 금액 증가율보다 건수 증가율이 높아 각종 생활 필수품 구매, 배달 앱 이용, OTT 구독 등 소액 결제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1인가구 증가와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디지털 소비는 향후에도 전세대를 걸쳐 증가할 것”이라며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부상한 5060세대와 MZ세대의 경험 추구형 소비가 지속되는 가운데 편의성, 가성비, 가심비 키워드로 하는 소비 트렌드가 디지털 환경에서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전선형 (sunnyju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