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자급률 높여가는 중국 "40%달하는 中 의존 낮춰야"

안태호 2021. 8. 5.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의 석유화학 자급률이 점차 높아지면서 대(對)중국 수출 비중이 40%가 넘는 국내 석화업계의 수출국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급률은 중국 내 특정 제품의 생산능력을 수요로 나눈 값이다.

중국 경제가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플라스틱 제품 수요가 상승하고 있는 터라 기초유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지만, 이미 자급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른 터라 국내 수출 증가 폭이 크게 늘지 않을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고부가 석화제품 자급률↑..韓수출 감소 우려
수출국 다변화, 中합작 회사 등 대안 모색 필요 
[파이낸셜뉴스]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사진=뉴스1
중국의 석유화학 자급률이 점차 높아지면서 대(對)중국 수출 비중이 40%가 넘는 국내 석화업계의 수출국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석화사와 협력해 중국 내 수요를 확보하는 방안도 단기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4일 한국석유화학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석유화학 기초유분 제품의 자급률은 이미 100%를 초과했다. 2020년 기준 △에틸렌 109.9% △프로필렌 115.5% △부타디엔 139.8% 등이다.

자급률은 중국 내 특정 제품의 생산능력을 수요로 나눈 값이다. 자급률이 높을수록 중국이 해당 제품을 수입할 유인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급률이 100%가 넘는다고 해서 수입을 전혀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중국도 자국에서 생산한 제품을 수출하기 때문이다.

기초유분은 원유에서 뽑아낸 석화물질인 '납사'를 가공해 만든 1차 제품이다. 이들 제품을 기초로 실생활에 쓰이는 플라스틱 제품이 생산된다. 중국 경제가 회복기에 접어들면서 플라스틱 제품 수요가 상승하고 있는 터라 기초유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지만, 이미 자급률이 상당한 수준에 이른 터라 국내 수출 증가 폭이 크게 늘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그간 자급률이 낮았던 고부가 제품들도 최근 자급률이 급속하게 상승했다. 화학섬유 원료인 파라자일렌(PX)이 대표적이다. PX 자급률은 2015년 56.5%에서 2020년 77.2%로, 20.7%포인트 급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감소 탓에 미뤄진 중국 헝리PC, 저장PC의 대규모 PX 생산설비(각각 450만t, 400만t)의 가동이 이미 시작됐거나 곧 시작될 예정이어서 PX 자급률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자동차 내장재, IT제품 등에 주로 쓰이는 고부가합성수지(ABS)도 자급률이 90%를 넘어섰다. ABS 자급률은 2010년 57%에서 2013년 68%, 2015년 87.9%, 2020년 91.3%로 매년 급증했다. ABS의 원료인 스티렌 모노머(SM)도 자급률이 81.1%(2015년)에서 102.9%(2020년)로 올라섰다.

국내 석화업계는 이같은 현상을 중국의 석화산업 고도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단계로 보고 있다. 석유화학 관계자는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초유분 위주로 생산해오던 중국이 기술을 축적해 점차 고부가 제품 생산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중국 수출 비중이 43%에 달하는 국내 석화업계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산업연구원 김경문 연구원은 "국내 석유 화학 산업의 대중국 수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며 "장기적 전략으로 아세안 국가와 같은 대안 시장 진출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급 과잉 예상품목을 선정해 타 품목으로 전환을 유도하거나 중국 석유화학사와 협력을 통한 지속적으로 중국 내 수요 확보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