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이냐 항일이냐..최재형 조상의 100년 전까지 검증한 이유

오연서 2021. 8. 15. 20: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연서의 러브레터]정치BAR_오연서의 러브레터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최재형 대선 캠프가 마련된 대하빌딩 앞에서 ‘가짜 독립유공자 친일행적 최재형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단
국민의힘 대권 주자인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15일 서울 서대문 독립공원 내 독립관을 방문, 참배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등록한 최재형 전 감사원장의 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 등이 과거 친일행적을 했다는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논란의 발단은 최 전 원장의 아버지 최영섭 대령이 자신의 회고록에 아버지 최병규씨의 독립운동 활동을 묘사한 것을 놓고 <오마이뉴스>가 이를 검증하는 보도를 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최 전 원장의 가족들은 모임 때마다 애국가를 4절까지 함께 부를 정도로 애국심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그래선지 일제시기 조상의 활동을 둘러싼 논란을 최 전 원장은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최재형 캠프는 해당 보도를 한 언론사에 정정보도도 청구한다고 하는데요. 왜 100년 전 증조할아버지의 삶까지 검증대에 오르게 됐을까요? 진실은 무엇일까요?

일제 치하에서 ‘유력 가문’ 의혹의 실체는?

6일 보도된 <오마이뉴스>의 검증 기사는 최 전 원장의 아버지인 최영섭 전 해군대령(1928∼2021)이 지난 5월 펴낸 책 <바다를 품은 백두산>의 내용을 조목조목 비판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우선 최 전 대령이 자신의 아버지이자 최 전 원장의 할아버지인 최병규(1909∼2008년)씨를 회고하며 “2002년 10월 13일 항일독립운동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지만 감옥생활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훈장은 받지 못했다”고 쓴 부분이 첫번째 검증 대상이 됐습니다. 지난 2008년 최병규씨 사망 기사를 쓴 <강원도민일보>는 기사 제목을 ‘춘천고 항일운동 주도 최병규옹 별세'라고 쓰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오마이뉴스>의 보도를 보면, 최 전 대령의 주장과 달리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공훈록’에는 최병규씨가 없었습니다. 국가보훈처에 정보공개청구를 한 결과, 최씨는 2002년 10월13일에 보훈처가 독립유공자 서훈이나 표창을 한 사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같은 해 광복절을 앞두고 표창한 208명의 독립유공자 중에도 최씨는 없었다고 <오마이뉴스>는 보도했습니다. 보도 직후 최 전 원장 캠프는 최씨가 당시 표창을 받은 것이 맞다고 반박하면서도 다만 “대통령 표창 사유에 대해 최 전 대령의 착오가 있었다”며 독립유공자 표창은 아니라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두번째는, 최 전 대령의 책과 정반대로, 최 전 원장의 할아버지가 ‘항일’ 아니라 ‘친일’을 했다는 의혹입니다. <오마이뉴스>는 같은 보도에서 최병규씨가 평강군 유진면에서 유진면 면협의원에 이름을 올렸고, 그의 형 최병렬씨도 고삽면 민협의원에 당선됐다고 했습니다. 이들의 아버지이자 최 전 원장의 증조할아버지인 최승현(1887~1953) 씨는 당시 유진면장으로 있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최병규씨는 1937년에는 평강군에서 1명을 뽑는 강원도회 의원 선거에 도전하기도 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최병규씨가 비록 낙선했지만, 3·1운동을 경험한 일제가 조선인의 독립요구를 무마하고자 ‘자치'를 앞세워 1920년부터 만들었던 강원도회 의원에 도전한 것 자체가 친일 행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일제 치하에서 삼부자가 평강군의 유력 인사로 자리매김한 것이 친일행적의 근거라는 겁니다.

<오마이뉴스>는 또한 최 전 원장의 조상들이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했다는 최 전 대령의 주장을 오히려 친일행적의 근거라며 뒤집어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최 전 대령은 책에서 “1938년 아버지는 독립운동을 위해 만주 목단강성 해림가로 건너갔고, 1940년에 어머니를 비롯한 우리 가족들을 해림으로 불러들였다. 아버지는 7년간 해림에서 살면서 해림가 부가장과 조선거류민단장을 맡아 독립자금 확보와 전달 역할을 하는 등 독립운동에 참여했다”고 썼습니다. 최병규씨의 독립운동 사례로 소개한 이 대목에 대해 <오마이뉴스>는 “해림가 가장이나 부가장이라는 자리는 만주국 행정체계의 말단 조직을 의미한다. 조선거류민단장 역시 일제가 조선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관제 민간조직답게 특별한 조선인만이 맡을 수 있는 자리였다”며 오히려 최병규씨가 일제의 신임을 받고 있던 인물이라는 의혹을 거듭 제기했습니다. <오마이뉴스> 보도를 보면,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는 1938년 6월30일 기사에서 “(최병규씨가) 아버지 회갑 축연비를 절약해 일금 20원을 국방헌금에 헌납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만주로 떠나기 전 이미 친일에 가담한 행적들을 일제로부터 인정받았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