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위험 알리는 조기 경보 6

이용재 2021. 9. 8. 1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두뇌는 30대부터 줄어들기 시작한다.

◆ 도둑이야! = 치매가 없는 사람들도 종종 자동차 열쇠며 돋보기 안경을 어디 두었는지 잊어버린다.

반면 치매 환자들은 연역적인 사고가 불가능하다.

치매가 시작되면 평소 책을 사랑하던 이들도 독서를 포기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리 두뇌는 30대부터 줄어들기 시작한다. 나이를 먹으면 생각의 속도가 느려지는 까닭이다. 정보를 두뇌에 저장하는 건 여전하지만 그걸 꺼내오는 데 훨씬 시간이 걸리는 것.

하지만 어떤 증상은 그저 나이 탓으로 넘겨선 안 된다. 치매를 알리는 신호일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에 가 봐야 하는 걸까? 미국 건강 매체 '프리벤션'이 정리했다.

◆ 도둑이야! = 치매가 없는 사람들도 종종 자동차 열쇠며 돋보기 안경을 어디 두었는지 잊어버린다. 하지만 그들은 그 물건들이 어디에 있을지, 자신의 행적을 돌아보며 '추리'를 한다. 반면 치매 환자들은 연역적인 사고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물건이 사라지면 화를 내고, "누가 훔쳐간 게 분명해" 생각한다.

◆ 돈 = 콜럼비아대 메디컬 센터의 엘리스 카카폴로 교수가 치매 의심 환자들에게 던지는 첫 질문은 돈에 관한 것이다. 공과금은 제때 내고 있는가? 시장에서 돈을 두 번 내민 적은 없는가? 이상한 곳에 돈을 쓰지는 않는가? 치매가 있으면 추상적인 사고를 하기 힘들다. 그런데 돈 계산을 한다는 건 수학만큼은 아니지만 꽤 추상적인 일이어서 치매가 생겼을 경우 곤란을 느끼기 쉽다.

◆ 책 = 카카폴로 교수는 환자들에게 독서의 양에 관해서도 묻는다. 치매가 시작되면 평소 책을 사랑하던 이들도 독서를 포기한다. 스토리를 따라갈 수 없거나 바로 앞 페이지에서 읽은 것도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카카폴로 교수는 "독서로 소일하던 사람이 이젠 아무 것도 안 읽는다, 읽는 거라곤 신문 뿐이다, 말한다면 위험 신호"라고 지적한다.

◆ 돌아서면 잊는다 = 오래된 일을 잊을 수는 있다. 그러나 방금 얘기한 걸 기억하지 못한다면 문제다. 대화 중에 같은 질문을 하고 또 한다거나 조금 전에 본 드라마의 내용이 생각나지 않는다면 의사와 상담하는 게 좋다. 이런 이들은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게 점점 힘들어진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바꿨다면 사용법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성격 = 치매에 걸리면 쉽게 짜증을 낸다. 화를 내거나 우는 일도 많아진다. 카카폴라 교수에 따르면, 평생 한 번도 울지 않던 남자가 통곡을 하는 일도 있다. 때로 반대 방향의 변화도 일어난다. 예민하고 까탈스럽던 사람이 순하고 상냥한 성격으로 바뀌기도 하는 것.

◆ 길 = 치매를 앓는 이들은 쉽게 길을 잃는다. 기억이 아스라한 데다 시각적, 공간적 지각 능력까지 떨어지면서 방향 감각을 상실하게 되는 것. 걸어서든 차를 타고든 수백 번 가본 곳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면 검사를 받는 게 좋다.

이용재 기자 (youngchaeyi@kormedi.com)

Copyright © 코메디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