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세계 시총 상위 10대 기업 중 中 기업 '전멸'
이용성 기자 입력 2021. 09. 17. 08:24기사 도구 모음
중국 당국의 전방위 압박에 빅테크(대형 기술기업)들의 주가가 폭락하면서 시가총액 기준 전세계 상위 10위 안에 중국 기업이 전멸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6일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는 이날 홍콩 증시에서 오전 11시 55분(현지시각) 현재 시총이 5520억 달러(약 648조원)에 그치며 지금까지 지켜오던 전세계 시총 10위 자리를 미국 엔비디아(5590억 달러)에 내줬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당국의 전방위 압박에 빅테크 주가 폭락
중국 당국의 전방위 압박에 빅테크(대형 기술기업)들의 주가가 폭락하면서 시가총액 기준 전세계 상위 10위 안에 중국 기업이 전멸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6일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는 이날 홍콩 증시에서 오전 11시 55분(현지시각) 현재 시총이 5520억 달러(약 648조원)에 그치며 지금까지 지켜오던 전세계 시총 10위 자리를 미국 엔비디아(5590억 달러)에 내줬다. 올해 초 알리바바가 전 세계 시총 상위 10개 기업에서 밀려난 데 이어 이어 텐센트마저 사라지면서 지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전 세계 시총 상위 10개 기업에 중국 기업이 하나도 없는 상태가 됐다.
중국에서 대표적인 코로나19 수혜주로 꼽혔던 텐센트는 지난해 주가가 급등, 올들어 1월 시총이 9490억 달러까지 늘어자면서 대망의 ‘시총 1조 달러’를 눈앞에 두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홍색 규제 압박에 주가는 급락했다. 8개월만에 주가가 3970달러나 줄어든 것. 텐센트는 최근 온라인 게임 규제를 받는 등 중국 당국의 지속적인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텐센트 창업자 겸 회장인 마화텅은 중국의 권력기구중 하나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지역 대표로 있지만 중국 당국의 타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날 기준으로 전세계 시총 1위는 애플로 약 2조4600억 달러였고 이어 MS(2조2900억 달러),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1조9300억 달러), 사우디아람코(1조8700억 달러), 아마존(1조7600억 달러), 페이스북(1조500억 달러), 테슬라(7570억 달러), 버크셔 해서웨이(6300억 달러), TSMC(5630억 달러), 엔비디아(5,590억 달러)의 순이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통신사 5G 부당이득 3兆]④ 공짜폰 된 갤S22 차비 15만원 ‘덤’… 5G 서비스는 뒷전 불법보조금 경쟁만
- [백윤미의 손품임장] 실거래 7.9억, 호가는 10억… ‘여의도 10분컷’ 아파트 지금 사도 될까
- "건강상태 기록하면 요리가 뚝딱" 약콩박사가 준비한 미래
- 얼어붙은 IPO 시장, 공모주 펀드서 ‘엑소더스’…수익률도 역대 ‘최악’
- 강남·서초 ‘1등’ 송파·강동 ‘꼴찌’… 강남4구 아파트값 양극화
- 괌 왕복권이 10만원대… 커피점에서 하루에 항공권 2500개 판 에어서울
- “광고모델료만 年 80억”...유통家 ‘월드클래스’ 된 손흥민 잡기 진땀
- "인플레 시대, 현금은 쓰레기… 더한 것은" 억만장자의 경고
- OTT 위기에 콘텐츠 업계도 타격… 대작 업고 반등 노린다
- [금융포커스] 시즌 코앞인데 하루 전날 통보… 차유람 정계 진출에 당황한 웰컴저축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