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살 빠지는 체질로 바뀌는 '생활습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 09. 18. 18:00기사 도구 모음
40대 이상 중장년층은 이전과 같은 양의 식사를 해도 살이 더 잘 찐다.
기초대사량이 줄어 같은 열량을 섭취해도 소비되고 남는 게 더 많기 때문이다.
또한 성호르몬은 몸에 지방이 쌓이지 않도록 작용하는데, 40대 후반 이후 호르몬 분비량이 급격하게 줄면서 근본적으로 살이 찌는 체질이 된다.
음식 섭취량은 이전보다 500㎉ 정도 줄이고, 근육량 유지를 위해 단백질이 많이 든 콩, 두부, 살코기 등을 챙겨 먹는 게 좋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40대 이상 중장년층은 이전과 같은 양의 식사를 해도 살이 더 잘 찐다. 기초대사량이 줄어 같은 열량을 섭취해도 소비되고 남는 게 더 많기 때문이다. 20대 여성이 하루에 쓰는 열량은 평균 2000㎉인 반면 40~50대에는 1800㎉로 떨어지는 식이다. 또한 성호르몬은 몸에 지방이 쌓이지 않도록 작용하는데, 40대 후반 이후 호르몬 분비량이 급격하게 줄면서 근본적으로 살이 찌는 체질이 된다. 근육 합성을 촉진하는 성장호르몬이 덜 분비되고, 근육 신경이 퇴화하는 것도 문제다. 따라서 중장년층은 20~30대와 다른 그들만의 체중 감량법이 필요하다. 중장년층에 맞는 다이어트법은 다음과 같다.
▷운동·식이조절=
운동은 약한 강도로 자주 해야 한다. 중장년층은 활동량이 적고, 골다공증·당뇨병 등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무작정 운동하면 심폐기능·혈압·혈당·관절기능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매일 약간 땀이 날 정도로 걷거나, 운동 기구를 이용해 10~20분 정도 운동하는 게 적당하다.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는 가급적 서고,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해 열량을 소모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음식 섭취량은 이전보다 500㎉ 정도 줄이고, 근육량 유지를 위해 단백질이 많이 든 콩, 두부, 살코기 등을 챙겨 먹는 게 좋다. 1일 단백질 섭취량은 고기를 기준으로 체중 1㎏ 당 0.8~1g이 적당하다.
▷체질 개선=
기초대사량이 큰 체질로 바꿔야 한다. 하루 6~8시간씩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칭만 해도 에너지를 잘 태우는 체질이 될 수 있다. 특히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는 자정~새벽 2시에 숙면을 취하는 게 중요하다. 숙면 후 스트레칭을 하면 산소가 뇌와 말초조직에 골고루 전달되고, 근육과 내장기관의 움직임이 활성화돼 대사가 활발해진다. 체온을 높이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체온이 1도 올라가면 몸의 생화학적 반응이 10% 정도 높아져 대사가 활발해지고, 혈액순환이 잘 되면 체지방 분해가 빠르게 이뤄진다. 하루 20~30분간 일광욕을 하고, 반신욕·족욕을 매일 15분씩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헬스조선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물만 먹어도 살찐다?… '이 습관' 때문입니다
- 살 빼려고 굶었는데 오히려 살 찌는 이유
- 연휴 기간 불어난 살… 2주 안에 빼야 쉽게 빠진다
- 손준호 14kg 감량, 요요 막으려면 한 달 몇 킬로 감량이 적절할까?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추석에 찐 살, 2주 내 감량해야… 효과적인 방법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김빈우 8kg 감량… 살 빠지는 체질되려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약 효과 빨리 보려면 '이 자세'로 누워야
- 전조 증상 없는 '위암'… 남성 환자 수, 여성의 2배
- 한미사이언스, 배경태 전 삼성전자 부사장을 부회장으로 영입
- [의료계 소식] 가천대 길병원, 의료관련감염병 예방관리사업 우수기관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