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국펀드들 '헝다 리스크' 미풍
김경아 입력 2021. 09. 23. 18:03기사 도구 모음
중국 최대 부동산그룹중 하나인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가 불거지면서 관련 편입 중국펀드에도 관심이 쏠린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미래에셋, KB, 삼성운용 등 대형운용사들이 일부 선보이는 홍콩증시 추종 인덱스펀드나 ETF펀드에 헝다그룹 관련 지수가 극소수 편입 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중국 최대 부동산그룹중 하나인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가 불거지면서 관련 편입 중국펀드에도 관심이 쏠린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미래에셋, KB, 삼성운용 등 대형운용사들이 일부 선보이는 홍콩증시 추종 인덱스펀드나 ETF펀드에 헝다그룹 관련 지수가 극소수 편입 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액티브펀드엔 헝다 관련 종목이 편입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헝다그룹이 홍콩 H-Share에 상장되어 있다보니, 벤치마크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와 ETF 특성상 자연스럽게 펀드에 편입 된 셈이다.
다만, 운용사들은 0.1%도 안되는 극소수의 편입 비율인만큼 펀드 성과엔 사실상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래에셋차이나H인덱스증권투자신탁1호(주식)와 미래에셋TIGER차이나H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파생형)엔 헝다그룹 편입 비중이 각각 0.06%, 0.07% 담겼다.
미래에셋운용 관계자는 "헝다그룹이 시총이 크다보니 H-Share에 상장돼 있어 인덱스펀드 특성상 포트폴리오에 담길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금액으론 5000만원 규모밖에 되지 않아 펀드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힘들다"고 밝혔다.
KB운용도 KB차이나H주식인덱스증권모(주식형), KB KBSTAR차이나HSCEI증권상장지수(주식)(H), KB KBSTAR 중국 MSCI China 증권상장지수투자신탁(주식)(H)에 각각 0.06%~0.02% 헝다그룹이 편입된 상태다.
이외 ETF강자인 삼성자산운용도 'KODEX 차이나H'와 'KODEX 차이나H레버리지'에 헝다관련 편입 비중이 최대 0.07% 담긴 것으로 나타났다.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도망치듯 퇴실하던 커플, 방에 가보니 "피가 온통..."
- 여친에게 "모든 옷 벗어라" 강요한 뜻밖의 장소
- 80세 대배우, 18살 연하 부인 몸에 한 행동 "처음해..."
- 여배우, 피 나서 치마 들춘 감독에게 뜻밖의 외침 "나 처녀..."
- 총기난사로 숨진 여교사 남편, 이틀 후 갑자기 사망 '소름'
- '소녀상' 본뜬 풍선인형에 바람 넣자 '쩍벌'…日극우 '깔깔'[영상]
- 청와대 요리사, 뜻밖의 발언 "박근혜 스타킹이.."
- 일론 머스크, 의미심장한 글 "한국은 결국.."
- 생리 기간에 강에 들어가는 여성 노렸다...무서운 흡혈물고기의 정체
- 김지민, 김준호와 공개연애 한 달 만에 '폭탄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