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한국전력이 10월부터 전기료를 인상하기로 했다. 전기 요금 인상은 8년 만이다. 4인 가정 기준으로 전기료를 한 달 1050원 정도 더 부담해야 한다는 추정이다. 전기료 인상은 단기적으론 연료비 부담 증가에 따른 것이지만, 현 정부 출범 후 탈원전 정책이 전기료를 더 이상 억제할 수 없는 상황으로 몰아온 것이 사실이다. 원전의 전력 생산이 위축되면서 원가가 훨씬 비싼 태양광·풍력과 LNG 발전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한전은 올해에만 3조가 넘는 돈을 신재생 전력 구입비로 투입해야 한다고 한다. 이 돈은 2025년 6조 이상으로 늘 전망이다. 한전과 6개 발전 자회사의 올 적자가 4조원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정부의 전력수급계획과 탄소중립위원회 방안을 실현하려면 태양광 설비만 400GW 이상으로 키워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럴 경우 서울시의 4.7배 면적이 필요하다고 한다. 태양광·풍력 전기의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규모 ESS(에너지저장장치) 설비에만 300조원 이상 들게 된다. 그런데도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료는 10.9%만 인상해도 충분하다고 주장해왔다. 말도 안 되는 억지다.
세계에서 가장 전기료가 비싼 나라가 풍력과 태양광의 나라 덴마크와 독일이다. 우리의 세 배 전기료를 내야 한다. 미국에서도 태양광·풍력이 많은 캘리포니아 전기료가 다른 지역에 비해 50% 비싸다. 전기료는 탈원전을 고집하는 한 앞으로 계속 인상될 수밖에 없다. 에너지 컨설팅 기업 우드 매킨지는 지난 6월 2030년 한국의 전기료가 작년 대비 24%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얼마 전 2050년의 전 세계 원전 설비가 현재의 두 배 수준까지 늘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력 소비가 계속 느는 가운데 원자력 전기 비율이 작년 10.2%에서 2050년 12.3%까지 늘 것으로 봤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작년 발표한 전망과 일치한다. 그런데도 한국은 지난해 28%였던 원자력 전기 비율을 2050년까지 6~7%로 떨어뜨린다는 탄소중립안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면서 “전기요금 상승 등 탄소중립 소요 비용에 대해선 고려하지 않았다”고 한다. 대통령 한 사람 고집만 쳐다보면서 국민 생활은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정부 보조 사업 최대 규모 구조조정···올해 연장 평가 대상 52% 폐지·축소·통폐합
- 22명 탄 여객기 감쪽같이 사라졌다… 또 히말라야 앞 ‘이 구간’
- 황교익, 박지현 저격 “몇 달 된 정치신인이 덤벼… 울화 치민다”
- [지선 영상] 이재명, 김포공항 이전 비판에 “정치는 새로운 길을 만드는 것”
- 무료급식 받으려 밟고 밟힌 사람들… 나이지리아 31명 압사 비극
- 김포공항 이전 논란 커지자... 윤호중 “당공약 아냐, 투표 보고 결정”
- 신민준, LG배 우승자 대결에서 스웨에 대 역전승
- 안철수 “원주공항서 제주 가라? 대선후보 하신 분이 마구 내질러”
- 박지현 “제 혁신안 수용한 윤호중에 감사”… 민주 갈등 일단 봉합
- [오늘의 운세] 5월 30일 월요일 (음력 5월 1일 癸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