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탈모 억제·모발 성장 촉진 '펩타이드' 국내개발 성공
김잔디 입력 2021. 09. 24. 11:04 수정 2021. 09. 24. 11:14기사 도구 모음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정진호 교수와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형호 교수 연구팀은 아디포넥틴(adiponectin)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증상 억제 효과를 보이는 펩타이드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정진호 교수와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형호 교수 연구팀은 아디포넥틴(adiponectin)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고 탈모 증상 억제 효과를 보이는 펩타이드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아디포넥틴은 주로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체내 단백질의 일종이다. 이 단백질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해 체내에서 비만, 당뇨병, 동맥경화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체내 아디포넥틴 부족이 남성형 탈모의 중증도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 이 단백질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부위를 찾아냈다.
이후 해당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을 이용해 아디포넥틴과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개발하고 'APN5'로 명명했다.
이 펩타이드를 인간의 모낭 세포와 실험용 쥐에 처리한 결과, 모낭 세포 및 생체의 모발 성장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APN5 펩타이드 0.007%를 쥐에 도포할 경우 이미 널리 쓰이는 발모제 '미녹시딜 3%'와 비슷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농도 측면에서 보면 APN5 펩타이드가 미녹시딜보다 우수한 효과를 내는 셈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APN5 펩타이드를 활용해 탈모증을 치료할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남성형 탈모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 연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유럽분자생물학회(EMBO)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인 '엠보 분자의학'(EMBO Molecular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jandi@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어느 대기업 간부의 드라마 같은 일탈
- 아내 살해 후 장모도 찌른 40대 영장 신청
- 尹대통령 국정 지지율 27.5%…부정 평가 70% 넘어[KSOI]
- 골프장서 30m 앞에 있던 캐디 날아온 공에 맞아 부상
- 집주인이 세입자에 안 돌려준 전세금 지난달 872억원…역대 최대
- 성우로 시작해 배우·뮤지컬까지…회장 배역 전문 김성원 별세
- 술 마시고 운전하는 경찰…최근 석달에만 여섯 차례 물의
- '사랑'은 '♥'입니다…차별 허무는 '쉬운 정보' 아시나요
- 2배로 커진 칠레 미스터리 싱크홀…"개선문도 잠길 크기"
- 북극해 서식 벨루가가 프랑스 센강에…"영양 실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