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추석 때만큼 결혼과 가족에 대한 질문을 자주 던지는 때도 없다. 이때를 전후로 쏟아지는 ‘명절 이혼’ 같은 헤드라인도 클리셰처럼 인기 기사 목록을 지키고 있으니 더 그렇다. 유튜브 알고리즘 때문인지 추석 때 ‘신이 내린 대한민국 3대 남편’이라는 장항준, 이상순, 도경완의 인터뷰를 차례로 봤다. 장항준 감독은 7년 전 직접 인터뷰를 한 적이 있는데, 그때 옆에는 남편의 박장대소 인터뷰에도 아랑곳없이 초집중 모드로 대본을 쓰던 김은희 작가가 있었다.
자신의 커리어가 있음에도 ‘누군가의 남편’으로 불리는 게 속 편하지 않다는 건 쉽게 직감할 수 있다. 하지만 ‘타고난 상팔자론’을 구축한 장항준 감독은 상대적으로 김은희 작가가 지금보다 덜 유명하던 시절에도 “제작사 측에서 우리를 김앤장!”으로 부른다며 아내를 치켜세웠었다. 또 시냇물처럼 종일 흐르는 아내의 자판 소리를 들으면 “저게 다 돈 버는 소리구나!” 싶어 맘이 평온했다는 말을 참 밉지 않게 하는 재능이 있었다.
사이 좋은 부부들을 보면 서로를 귀여워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남모를 그 귀여움 때문에 화가 나려다 말거나, 화가 덜 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런 귀여움 속에는 ‘짠함’과 ‘존경심’도 포함돼 있다. 부부 사이가 늙어갈수록 섹시해지는 것은 어렵지만, 서로가 더 귀여워질 수는 있다. “티비를 볼 때, 서로 분노하는 지점과 웃는 지점이 같아야 한다”는 그의 말처럼 웃는 포인트가 같다는 건 취향이 비슷하다는 뜻이고, 분노하는 지점이 같다는 건 세계관이 통한다는 말이다. 그런 맥락에서 “사랑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게 아니라, 같은 곳을 보는 것이다”라는 생텍쥐페리의 말은 유효하다.
하늘이 내린 꿀 팔자란 스스로 만드는 것 아닐까. 인간 심리란 참 희한해서 친구나 가족의 큰 성공에 기뻐하는 것이 큰 슬픔에 함께 우는 것보다 언제나 더 어렵다. 가까운 사람의 성공을 진심으로 축복하는 능력은 실은 자존감과 직결돼 있다. 그것이 아내라 해도 나에 대한 믿음 없이 타인의 성공에 마음을 열 수 없기 때문이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보수 유튜버, 이재명 유세현장 나타나 “욕해주세요” 난동
- “마음의 빚 커” 조국, 최민희 남양주시장 후보 공개지지
- 박지현 “자리 달라고 한 적 없다”… 윤호중 “그 얘기는 안 하겠다”
- 잔나비 전 멤버, 女폭행 혐의 기소유예… “죄송, 음악만큼은 진심”
- 한밤중 동대문구 모텔 화재...10명 대피, 2명 구조
- 이재명이 쏘아올린 ‘김포공항 이전’에 민주당 내전...이준석 “집단 멘붕 온듯”
- “말 더듬을 거 같아요”…인터뷰가 어색한 ‘뽀시래기’ 손흥민의 과거
- 박홍근, 尹 추경 합의 불발 비판에 “역대급 적반하장에 기가 찬다”
- 트위터 인수하려다가 고소까지 당하고... 모든게 꼬여버린 일론 머스크
- 손연재, 8월의 신부 된다… 열애 공개 한 달 만에 결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