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캐나다 억류 화웨이 부회장 귀국길 열려..미·중 갈등 해빙 신호?(종합)
뉴욕=백종민 입력 2021. 09. 25. 00:17기사 도구 모음
미국이 3년째 캐나다에서 구금 중인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을 중국으로 돌려보낼 전망이다.
미국이 반중 연대인 쿼드(Quad) 첫 정상회의와 맞물려 중국에 유화 신호를 보낸 것인지 주목된다.
멍 부회장은 화웨이와 이란의 거래와 관련한 사기 혐의로 2018년 12월 캐나다 밴쿠버 공항에서 체포돼 캐나다 법원에서 미국으로 송환 여부에 대한 재판을 받아왔다.
중국은 멍 부회장의 체포에 반발하고 송환을 요구하면서 미국은 물론 캐나다와도 갈등 해 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멍 부회장 3년째 캐나다 억류 중
쿼드 정상회의 맞춰 발표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미국이 3년째 캐나다에서 구금 중인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을 중국으로 돌려보낼 전망이다.
미국이 반중 연대인 쿼드(Quad) 첫 정상회의와 맞물려 중국에 유화 신호를 보낸 것인지 주목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4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 미 법무부와 멍 부회장이 기소유예 합의에 도달했다고 보도했다. 합의 사실을 이날 중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기소유예 합의는 멍 회장이 자신의 유죄를 인정하고 검찰은 그에게 적용된 사기 혐의 기소를 취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멍 부회장은 이날 뉴욕시 브루클린에 있는 미 연방 법원에 화상으로 출두할 예정이다.
멍 부회장은 화웨이와 이란의 거래와 관련한 사기 혐의로 2018년 12월 캐나다 밴쿠버 공항에서 체포돼 캐나다 법원에서 미국으로 송환 여부에 대한 재판을 받아왔다.
멍 부회장은 캐나다에서 체포된 후 가택연금 상태로 3년을 지내왔다. 중국은 멍 부회장의 체포에 반발하고 송환을 요구하면서 미국은 물론 캐나다와도 갈등 해 왔다.
한 주요 외신은 이번 기소유예 합의가 미·중 사이의 핵심 분쟁 중 하나를 제거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미국과 영국, 호주가 참여하는 오커스(AUKUS) 출범과 호주의 핵잠수함 도입으로 역내 갈등이 커지는 상황에서 긴장 완화의 신호가 될 수 있을지 주목했다.
마침 이날 백악관에서는 미국 영국 인도 호주 정상이 참여하는 첫 쿼드 정상회의도 열린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일라이 "지연수와 동거는 해도 재결합 생각은 없어…아들 희망고문할까봐 걱정"
- "한시도 쉬지 말고 일하라"… 180도 달라진 檢 [서초동 법썰]
- 바이든 또 말실수, 대러 제재 참여국에 한국 대신 북한 언급
- 김혜경 관용차 사적유용 수사 난항 예고
- '박근혜·이명박·문재인 사저' 싹쓸이 매입한 홍성열은 누구
- 이재명 후보 타고 있던 차량, 신호위반으로 과태료 부과
- '개딸'들은 왜 박지현에 등 돌렸나
- "공무원 특공 아파트로 갭투자?" … 김승희 후보자 자질 논란
- "옆집 숟가락이 몇 짝인지도 아는" 제주 '괸당' 문화를 아시나요
- 일론 머스크 " 韓, 홍콩과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구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