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단 대화하자" 美, '종전선언·비핵화 무엇이 먼저냐' 질문에 즉답 피해
뉴욕=백종민 입력 2021. 09. 25. 06:09기사 도구 모음
미국 국무부가 북한에 대한 적의가 없다면서 대화를 촉구했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제안한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종전선언이 비핵화 과정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문 대통령의 생각에 미국이 동의하지 않는 것 같은데 종전선언 전에 비핵화가 먼저라고 보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우리는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고, 대북 대화와 외교가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는다"라고 답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미국 국무부가 북한에 대한 적의가 없다면서 대화를 촉구했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제안한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종전선언이 비핵화 과정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문 대통령의 생각에 미국이 동의하지 않는 것 같은데 종전선언 전에 비핵화가 먼저라고 보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우리는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고, 대북 대화와 외교가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는다"라고 답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어 "우린 북한에 대해 적대적 의도가 없고, 전제 조건 없이 북한과 만날 준비가 돼 있다"라면서 "북한이 이에 긍정적으로 응하길 바란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우리는 미국뿐 아니라 역내 동맹과 우리의 배치된 군대 및 파트너를 위한 안보를 증진하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고자 조정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의 일환으로써 북한에 대한 관여를 지속해서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뉴욕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에 대해 "회담의 주요 주제 중 하나가 북한에 대한 공동의 접근법이었으며, 우리가 효과적으로 되려면 계속해서 한국 및 일본과 발맞춰 협력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남북관계와 관련해 "우린 남북 간 대화와 관여가 좋은 것이라고 계속 믿고 있다"라며 "더 광범위한 의제에 대해 한국과 계속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했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열애 시작 김지민, 김준호에 "스킨십은 하지 말자"…왜?
- '당나귀귀' 장윤정 "공연 중 치마 밑으로 휴대폰이 슥…동영상 촬영"
- 비혼주의였던 미자 "김태현과 교제 한 달 만에 쎄한 느낌"
- 강용석 "김은혜와 단일화 고민 끝···양당 후보 함량 미달"
- ‘소통령’ 한동훈 패션·화법까지 신드롬… 권력집중 우려도
- 세계는 배터리 자원 전쟁 중…한국은 '이 기술'로 살아 남는다[과학을읽다]
- "폭염 온다는데 에어컨 못 켜나"…올여름 '최악의 전력난' 우려
- 이재명, 여론조사 '접전' 결과에 "선거 포기하게 하려는 일종의 작전일 수도"
- 원어민급 영어 구사한 이재용·정의선·손흥민…스타일 어떻게 다를까
- 인류 최초 화성 탐사 성공에 꼭 필요한 '이것'은?[과학을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