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혁신도시 특공' 공공기관 직원 30%, 아파트 받고 타 지역 이사
전형민 기자 입력 2021. 09. 26. 16:02 수정 2021. 09. 27. 08:41기사 도구 모음
혁신도시 특별공급으로 아파트를 받은 지방 공기업 임직원 3명 중 1명은 아파트를 취득한 후 해당 지역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상훈 국민의당 의원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115곳으로부터 제출받아 정리한 '특공 수급자 거주 및 발령 현황'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종사자 중 특공을 받은 것으로 추산된 인원은 8318명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국민 눈높이에 불공정..다른 주거대책 모색해야"
(서울=뉴스1) 전형민 기자 = 혁신도시 특별공급으로 아파트를 받은 지방 공기업 임직원 3명 중 1명은 아파트를 취득한 후 해당 지역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김상훈 국민의당 의원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115곳으로부터 제출받아 정리한 '특공 수급자 거주 및 발령 현황'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종사자 중 특공을 받은 것으로 추산된 인원은 8318명이다.
그중 퇴직자 737명을 제외한 현 재직자 7581명 중 해당 혁신도시를 떠나 거주하거나, 타지역으로 인사발령을 받은 인원이 2277명(30%)이다. 김 의원 측은 "주거 안정을 명목으로 아파트를 특별분양 받았지만, 3명 중 1명은 집을 팔고 떠난 셈"이라고 설명했다.
혁신도시 중 타지역 이주율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 진주시였다. 진주에는 11개 기관 1717명이 특공을 받고 재직 중인데, 그중 664명(38.7%)이 경남 또는 진주를 떠나 다른 곳에서 거주·근무 중이었다.
전북 전주(9개 기관 444명 중 155명, 34.9%)와 울산(10개 기관 919명 중 311명, 33.8%)이 진주의 뒤를 이어 타지역 이주율이 높은 혁신도시로 조사됐다.
특공 인원이 100명 이상인 공공기관을 따로 뽑은 결과, 울산의 근로복지공단에서 특공을 받은 인원 144명 중 116명(80.6%)이 지역을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김천의 한국도로공사(101명 중 76명, 75.2%)와 광주·전남의 한국농어촌공사(54.5%), 경남 중소벤처진흥공단(49.4%), 한국토지주택공사(47.3%) 등이 뒤를 이었다.
특공을 받고 1년 이내에 퇴직한 직원은 총 46명이었으며 그중 16명은 6개월 이내에 퇴직했다.
김 의원은 "공공기관 이전 초기, 재직자의 안정적 주거를 위한 특공 혜택은 불가피한 면이 있었지만, 현 상황에서 집은 받고 지역은 떠나는 것은 국민의 눈높이에서 볼 때 상당히 불공정하게 느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이전할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다른 방향의 주거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maverick@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뉴스1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이효리♥' 이상순 카페, 오픈 이틀만에 문 닫아…예약제 변경
- 신아영 "통장만 7~8개"…금융업 남편도 모르는 잔고 공개
- 이준석 "尹 안 도와? 말 없는데 어떡해…맡겨주면 지지율 해결"
- 강남 "김국진, 골프 칠 때 까부니까 '똑바로 해 XX야'라고"
- 김준호 "김지민과 커플 사진, 나만의 것…고백할 때 빌어"
- 강재준·이은형 부부 "잠자리 안해…친구 느낌"
- 김종민 "신지 전 남친, 솔직히 너무 별로" 폭로
- 송혜교, 여신 아우라…파리서도 빛나는 미모
- 수십 마리가 붙어 짝짓기…'러브버그' 뭐길래
- 출근 여성 뒤쫓아 음란행위 하고 발뺌한 2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