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강남시선] '오징어 게임' 아직 안보셨습니까
정순민 입력 2021. 09. 26. 18:04 수정 2021. 09. 28. 19:50기사 도구 모음
동네마다 부르는 이름이 달랐다.
드라마가 방영되기 전부터 '오징어게임'에 관심을 가졌던 건 아마도 이 놀이에 대한 추억 때문이었을 것이다.
'오징어게임'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은 작품 공개에 앞서 "우리는 왜 이렇게 목숨을 걸다시피 경쟁하며 살아가야 하는지, 이 경쟁은 어디서 시작됐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고 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드라마가 방영되기 전부터 '오징어게임'에 관심을 가졌던 건 아마도 이 놀이에 대한 추억 때문이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세모(△)와 네모(□) 그리고 동그라미(○)로 형상화한 원색의 레터링과 동화적 이미지가 눈길을 끌었다.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다른 추억의 놀이들, 이를테면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뽑기), 구슬치기, 딱지치기 같은 놀이들도 나 같은 4050 시청자들에겐 유인요소가 될 만했다.
하지만 이것뿐이었다면 1편부터 9편까지 내리 드라마를 관람하는 '정주행'은 가능하지 않았을 터다.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관객들이 '오징어게임'에 환호하는 것은 아마도 이 드라마가 박터지게 경쟁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어떤 땐 적나라하게, 또 어떤 땐 은근슬쩍 은유하고 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좀 과장되긴 하지만 이정재가 연기한 456번이나 박해수가 연기한 218번의 처지가 나와 별반 다를 게 없다는 데까지 생각이 미치면 등골이 오싹해지기도 했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는 이 드라마에 대해 "창의적 설정으로 가득한 작품"이라며 "여기에는 돈과 권력을 쥔 자들이 그렇지 못한 자들의 절망을 먹이로 삼는 것에 대한 메타포가 있다"고 평가했다. 씁쓸하지만 전혀 틀린 말이 아니다. 좀 극단적이긴 하지만 드라마가 설계한 게임의 법칙과 적자생존의 논리가 우리 사회를 비교적 적확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오징어게임'을 연출한 황동혁 감독은 작품 공개에 앞서 "우리는 왜 이렇게 목숨을 걸다시피 경쟁하며 살아가야 하는지, 이 경쟁은 어디서 시작됐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고 했다. 그가 이번 작품에서 말하고자 한 바가 그것이었다면 일단 작품의 의도가 잘 전달된 셈이다.
성공한 콘텐츠는 많은 이야깃거리를 제공하게 마련이다. 지금 아마존 같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선 드라마 속에 등장했던 초록색 운동복과 달고나 세트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TV 앞에 앉아 드라마를 본 데는 그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것이 서바이벌 장르물이 주는 재미든, 사회비판적 드라마가 제공하는 의미든 말이다. 아직 '오징어게임'을 못 보신 분들은 오랜만에 OTT에 접속해보길 권해드린다.
jsm64@fnnews.com 정순민 문화스포츠부장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길이 5.4m 왕뱀 배를 가르자 그 안에서 122개의...
- 압구정서 헌팅 당해 도망간 36살 애엄마 여배우의 미모
- "188cm 남자와 첫 만남에 집까지..." 개그우먼의 고백
- 前국회의원 딸 "현대·기아차, 브레이크가 밀려서.." 발언
- 천공스승 "김건희, 세계적 '인기 짱' 된다. 이유는..."
- '머리카락' 치킨 별점1개 받은 사장의 기상천외한 반응
- 배달 요청사항 "경찰 불러주세요" 쓴 여성, 사장님은...
- 장도연 "자취 시작하고 남자친구가..." 화끈 입담
- 너무 닮아 '수상한' 레즈비언 커플, '자매' 가능성 화제
- '아기 탯줄 처리' 검색한 20대 여성, 아기를 변기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