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화된 '풍선효과'..토스 대출, 일주일 안에 바닥날 듯

김범주 입력 2021. 10. 8. 11: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범 3일 만에 대출한도 40% 소진한 토스뱅크
■ 카카오뱅크도 발등에 불...잇따르는 신규 대출 중단
■ 대출 때문에 집 포기?...‘실수요자’는 발동동

■ 출범 3일 만에 대출한도 40% 소진한 토스뱅크

3일 만에 2,000억 원. 토스뱅크 대출 상품의 ‘풍선효과’ 우려가 현실이 됐습니다.

토스뱅크가 본격 영업을 시작한 지 3일 만에 목표로 삼은 연간 대출한도 5,000억 원의 40%가 소진된 겁니다. 첫날 오후부터 계좌 개설이 이뤄진 점을 고려하면, 하루에 1천억 원꼴로 대출이 늘어난 셈입니다.

어제(7일)까지 대기 번호 전체 140만 번 중 21만 번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한 상태인데, 이런 추세라면 오늘 중에 전체한도의 50%, 주중에 전체 한도가 소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토스뱅크는 출범 당시 올해 신규대출을 5,000억 원까지만 하기로 금융당국과 협의했습니다. 자본금 등을 고려하면 1조 원까지 가능하지만, 겨우 눌러놓은 가계대출 증가세를 또 부추기지 않을까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금융당국은 토스뱅크가 여러 계획을 잘 짜놨다며 낙관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사실 1,700조 원대 전체 가계대출 규모를 볼 때 5,000억 원은 그렇게 큰 규모는 아닙니다. 다만 이렇게 빠른 대출 한도 소진율은 시장이 그만큼 대출에 목말라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은행권이 전방위적인 대출 옥죄기에 나서면서, 좋은 조건의 토스뱅크 대출을 일단 받아놓고 보자는 ‘가수요’까지 불러일으킨 겁니다.

토스뱅크는 우선 ‘고신용자’ 대출 한도를 제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출범 취지에 맞게 연말까지 전체대출 가운데 중·저신용자의 비중을 34.9%까지 늘리겠다고 약속한 만큼, 고신용자의 경우 대출한도를 제한하거나 제시 금리를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큽니다.

■ 카카오뱅크도 발등에 불...잇따르는 신규 대출 중단

여기에 카카오뱅크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이달부터 ‘고신용자 대상’ 마이너스 통장 신규 대출을 중단한 데 이어 ‘고신용자’ 신용대출과 직장인 사잇돌대출, 전세대출까지 연말까지 중단하기로 한 건데요. 취약계층 대출을 빼곤 사실상 다 막힌 셈입니다.

카카오뱅크 역시 인터넷전문은행 취지에 맞게 지난 6월에 밝힌 ‘중‧저신용 고객 대출 확대’ 방안에 따라 중‧저신용자의 신용대출 잔액 비율을 연말까지 20.8%까지 올려야 하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우리은행이 지난달부터 영업점별 부동산 관련 신규대출 한도를 적게는 5억 원까지 낮추면서 일부 지점은 이달 초에 벌써 한도가 다 차버리기도 했습니다. KB국민은행도 지난 6일부터 ‘우리은행 방식’의 영업점별 한도 관리에 들어갔는데 부동산 관련 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까지 포함하기로 한 만큼 여파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이 극찬한 KB국민은행의 ‘보증금 증액분만큼만 전세대출’ 조치도 은행권에 확산 되는 모양새입니다. 하나은행이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인 가운데, 다른 주요 시중 은행들도 금융당국이 이렇게 긍정적으로 보는데 안 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나은행은 KB국민은행에 이어 일부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의 대환대출까지 중단했습니다.

우리은행, KB국민은행의 이런 대출 관련 조치는 결국 다른 은행으로의 쏠림을 불러와 결국 전체 은행권이 유사한 조처를 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 대출 때문에 집 포기?...실수요자는 ‘발동동’

은행들이 영업점별 대출 한도까지 줄이는 상황에서 속이 타는 건 중도금대출(집단대출)로 대표되는 실수요자들입니다.

갑작스러운 대출 절벽에 치러야 할 잔금이 남은 예비 입주자의 경우는 더 곤란한 상황입니다. 분양 당첨이 됐지만, 연말까지 남아있는 잔금을 치를 수 없으면 분양받은 아파트의 입주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중도금대출은 입주 시기에 잔금을 포함해 새로운 주택담보대출로 전환되는데,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에서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중도금대출 잔액은 5조 7,279억 원(5만 3,023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금융당국은 강경한 자세입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국정감사장에서 “증가율 목표를 맞추려면 전세대출을 조이고, 집단대출도 막아야 하느냐”는 질문에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목표 달성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답변했습니다. 물론 “전세대출과 집단대출 등은 좀 더 세심하게 보겠다”고 덧붙이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날 문재인 대통령이 “가계 부채 관리는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전세대출 등 실수요자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정책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고 언급한 만큼 금융당국도 ‘실수요자’ 측면을 마냥 외면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

이달 중순에 발표될 ‘가계부채 추가대책’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관심이 쏠리는 이유입니다.

김범주 기자 (category@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