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 백신 특허 복잡..고영인 "K-mRNA, 빨간불 켜져"

입력 2021. 10. 14. 20:10 수정 2021. 10. 15. 05: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충남 계룡시 예방접종센터에서 의료진이 시민들에게 접종할 화이자 백신을 신중히 준비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정부가 화이자·모더나와 같은 한국형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려 지난 6월 ‘K-mRNA 컨소시엄’을 출범시켰으나 아직 핵심 제조기술이 없다 보니 단기적으론 mRNA 개발사에 라이선스를 줘야 할 처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영인 의원은 14일 열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국민 선호도 높은 화이자·모더나와 같은 차세대 mRNA 백신을 개발하려 K-mRNA 컨소시엄을 꾸렸다”며 “하지만 mRNA 백신 개발사의 특허문제로 우리 비전을 세우는데 빨간불이 켜졌다”고 지적했다.

6월 29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이하 K-mRNA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권순만 보건산업진흥원장은 “특허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단기적으로 피하는 건 어렵다”며“세계적으로 대부분 기업이 라이선스를 통해 백신을 개발해야 하는 상황이다. (다만) 장기적으로 연구개발 통해 좋은 성과가 나오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백신 제조기술은 특허로 등록돼 보호되며 이와 관련한 지식재산권도 다양하다. 그간 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 상황에서 지재권 일시 면제가 필요하단 요구가 이어져 왔다. 백신 개발의 문턱을 낮추기 위해서인데, 현재로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이런 사정에 아직 차세대 mRNA 핵심기술이 부재한 한국 역시 기술을 빌려와야 하는 처지다. 국내에서 백신 개발에 속도를 내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경우 mRNA 플랫폼이 아니다.

고영인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고 의원은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 연구 개발과 기술을 지원해야 한다. 그래야 해외의 바이오산업에 대응하며 갈 수 있다”며 “글로벌 제약사들은 한 해 수천억 원의 비용을 지원받는데 우린 부족하다. 바이오산업의 경우 미국과 우리의 기술 격차가 4.3년이다. 그러니 특허문제에 걸리는 것이다. 이에 대해 중장기적 계획을 세워달라”고 당부했다.

이수민 기자 lee.sumin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