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용인력 감소 영향은 제한적
되레 1인창업문턱 낮추는 효과
되레 1인창업문턱 낮추는 효과
◆ 경제 살리는 프랜차이즈 ① ◆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달콤'을 운영하는 다날그룹의 24시간 무인 로봇카페 '비트' 매장 수는 1호점 개점 3년9개월 만에 130호점으로 늘어났다. 교촌치킨은 지난 8월 '닭 튀기는 로봇'을 도입한 첫 가맹점의 문을 열었다. 이 로봇은 치킨의 바삭한 맛을 더하는 난도 높은 조리 과정인 2차 튀김을 하도록 설계됐다. 프랜차이즈 업계가 앞다퉈 로보틱스, 인공지능(AI) 등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업체마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오프라인 매장의 혁신은 주로 매장 운영에 필요한 인력을 줄이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로봇화, 자동화가 진행될수록 프랜차이즈 산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염려가 제기된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업계는 무인기기의 고용 인력 감소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주장한다. 가게 내 조리·서비스 등 각 영역을 맡을 최소 인력이 필수적이며 로봇으로 대체되는 업무는 단순 반복 업무 등 부가가치가 낮은 일거리라는 얘기다.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인건비 부담이 큰 매장이 많은데 무인화 기업으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무분별한 무인기기의 도입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사용자 편의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인건비를 절감하는 게 목적인 자동화는 프랜차이즈 외식업 전반의 고객 만족 감소와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진영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매일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20만원 넘게 주고 산 뽀글이 배신, 털 빠짐에 변색까지"…올바른 세탁 방법은
- "뭐 물이 샌다고?"…신세계백화점 `누수사고` 4일만에 점장 교체
- 두껍거나, 얇아야 팔린다…삼겹살 두께 `양극화`
- 트럭시위에 놀란 스타벅스 "1600명 새로 뽑겠다"
- "애프터눈 티세트로 행복회로 돌려요"…빙수 먹던 호텔서 디저트 뷔페 즐긴다
- 장나라, 결혼식 현장 공개 "행복하게 잘 살겠다"
- "집주인이 외국인이네"…강남3구 전세계약하려다 깜짝 놀랐다
- (여자)아이들 민니, 섹시한 워터밤 자태
- “혼종·반변태...자존감 바닥” 트랜스젠더 미인대회 톱11 오른 한국인
- 먹방 유튜버 쯔양, 곽윤기도 놀란 월 수익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