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쌍용차 새 주인 후보 '에디슨모터스' 낙점
조병욱 입력 2021. 10. 20. 20:51 수정 2021. 10. 20. 22:41기사 도구 모음
직원 4500명의 대기업인 쌍용자동차가 직원 180명의 전기버스 제조사 에디슨모터스에 인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쌍용차는 2010년 인도 마힌드라와의 인수·합병(M&A) 이후 10년 만에 다시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우선협상대상자 법원허가 수순
"안정적 성장 역량 최우선 고려"
'전기차 회사 변모' 새 비전 제시
MOU 체결 후 내달 본 계약 협상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차와 매각주간사인 EY한영회계법인은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법원에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에디슨모터스와 마지막까지 경쟁했던 이엘비엔티의 경우 5000억원의 인수대금을 써내며 에디슨모터스(3000억원)를 제치고 최종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있었지만 결국 자금조달능력 증빙 부족으로 평가에서 제외됐다.
쌍용차 관계자는 “매각주간사와 초기 인수자금 규모뿐 아니라 인수 이후 쌍용차를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에디슨모터스는 법원허가 절차를 거쳐 10월 말까지 쌍용차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게 된다. 이후 11월 초부터 약 2주간의 정밀실사를 진행하고 인수대금 및 주요 계약조건에 대한 본 계약 협상이 진행된다.
에디슨모터스는 처음 인수전 참여 당시만 하더라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매출 2조9502억원 쌍용차를 매출 897억원의 지역 중소기업이 인수한다는 것은 어렵다는 관측이 많았다. 이 때문에 에디슨모터스의 도전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에 비유되기도 했다. 하지만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를 전기차 회사로 변모시킬 복안이 있다고 강조해 왔다.
외환위기 이후 쌍용그룹이 휘청이면서 1998년 대우그룹에 인수됐고, 다시 대우가 무너지면서 쌍용차는 채권단에 넘어갔다. 이후 2004년 중국 상하이자동차가 인수했으나 기술 유출 논란 끝에 구조조정을 거쳐 2010년 한국에서 철수했다. 이후 인도 마힌드라그룹에 인수된 이후 안정을 찾는 듯했으나 국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의 경쟁 심화와 전동화 전환에 뒤처지면서 내리막길을 걸었다. 특히 코로나19로 대주주 마힌드라의 상황이 악화되면서 다시 법정관리 신세가 돼 매각 작업을 진행하게 됐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단독] “4학년 때부터 16년간 성폭력”…독거노인 돌보는 선교사의 두 얼굴
- “특정 멤버가 괴롭혀”…제시카 소설 ‘브라이트’, 소녀시대 이야기 담겼나
- ‘땀냄새 엄청’ ‘생긴 거 비호감’ ‘페라리 타’…강남 ‘키스방’ 장부에 적힌 9300명 신상
- “2년 전 시세로 돌아갔네요” 주택시장 위기 전조?
- 교차로 뛰어들어 멈춘 택시에 몸통 박치기…어설픈 女 행동에 “보험사기 의심” [영상]
- 고민정, 尹 향해 “호가호위 말라”… 與 “‘호의호식’ 실수?” “중국어학과 출신 인재의 희생”
- “잘 치워봐~” 편의점서 남은 음식 널브러뜨리고 약 올린 10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