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개나 줘?" 윤석열 '사과' 인스타에 논란 일파만파
[경향신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전두환 옹호’ 발언에 사과해놓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반려견에 사과를 건네는 사진을 올려 논란이 일고 있다. 사과를 요구하는 여론에 조롱 섞인 반응을 보인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이어진다.
22일 자정 무렵 윤 전 총장 반려견 ‘토리’의 인스타그램 계정인 ‘토리스타그램’에는 연녹색 사과 열매를 토리에게 건네는 사진이 올라왔다. 사진에는 “오늘 또 아빠가 나무에서 인도사과를 따왔나봐요. 토리는 아빠 닮아서 인도사과 좋아해요”라는 설명이 붙었다. ‘#우리집괭이들은_인도사과안묵어예’ ‘#느그는추루무라!’라는 해시태그도 달렸다. 윤 전 총장이 키우는 반려묘를 향해 “너희는 사과 안 먹으니 츄르(고양이 간식)나 먹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윤 전 총장 명의의 인스타그램 계정에도 사과 사진이 올라왔다. 집안 나무에 사과를 끈으로 묶은 사진과 윤 전 총장 어린시절 사진이 함께 올라왔다. 윤 전 총장 어린 시절 부친이 퇴근길 사과를 사다가 마당 나무에 실로 묶어두고는 했고, 윤 전 총장은 그 사과를 따다가 먹는 걸 좋아했다는 이야기가 붙었다. ‘#성장스토리’ ‘#추억의인도사과’와 같은 해시태그도 달렸다.
사과 사진을 올린 의도는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윤 전 총장 측이 전두환 발언 이후 계속된 사과 요구에 조롱조로 반응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윤 전 총장은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 관련 “군사 쿠데타와 5·18만 빼면, 정치 잘했다고 얘기하는 분들이 많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커지자 이틀 만인 21일 오후 SNS 입장문을 통해 공식 사과하며 몸을 낮췄다. 그 사과 직후에 조롱조로 해석될 수 있는 SNS 게시물을 올린 셈이다. 윤 전 총장과 ‘토리’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사과 사진은 지금은 모두 삭제된 상태다.
윤 전 총장 대선캠프에서 선거대책본부장을 맡고 있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인스타라는 것이 너무 무겁고 딱딱하면 재미가 없지 않느냐”며 “공식 입장은 본인 페이스북과 어제 기자회견에서 유감 표명 여기가 공식입장이라고 보면 되고, 인스타그램은 그냥 약간 재미를 가미한 것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라고 해명했다. 사진을 올린 의도나 경위에 대해서는 “밤새 일어난 일이라서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SNS에 “아침에 일어나 보니 뭐 이런 상식을 초월하는… 착잡하다…”고 적었다. 윤 전 총장 사과 사진에 대한 반응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도 일제히 윤 전 총장을 비판하고 나섰다. 홍준표 의원 측 여명 대변인은 “사과는 개나 줘”라는 논평을 내고 “가뜩이나 엎드려 절받은 국민의 뒤통수를 쳤다”면서 “이것이 ‘사과는 개나 줘’가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여 대변인은 “윤 후보는 그런 국민과 당원 모두를 우롱했다”고 지적했다. 유승민 전 의원 측 권성주 대변인은 “앞에서 억지 사과하고 뒤로 조롱하는 기괴한 후보에게 대한민국 대통령 자격 절대 없다”고 논평했다. 원희룡 전 제주지사 측 신보라 수석대변인은 “SNS 담당자의 실수라 치부할 수 없다”며 “사과를 개에 건네는 사진이 걸린 시간 동안 국민이 느꼈을 깊은 절망감을 생각해보라”고 논평했다.
심진용 기자 s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구윤철·베선트, 다음주 막판 관세협상···미, 이번엔 ‘일방 연기’ 없나
- 태안 신진항 어선서 큰불 나 5척 불타···한때 주민 대피도
- 9살 수강생 머리 물속에 집어넣고 조롱…20대 수영강사 벌금 700만원
- 의정부서 스토킹 안전조치 대상 50대 여성 피살…경찰, 용의자 추적 중
- ‘38.5도’ 아이디 이틀 빌려주면 27만원?···수상한 당근 ‘계정 임대’
- 숙박업소 전전하던 ‘지게차 괴롭힘’ 피해 이주노동자, 새 직장 취업할 듯
- 산에서 기념촬영하다 10m 아래 추락···“하반신 마비 증세”
- [단독] ‘국제 학술기준에 123개나 미달’…한국 학술지의 굴욕
- “제2의 조국 사태 될 뻔했다”…강선우 사태가 남긴 것
- “윤, 10만원씩 배상” 첫 판결에…‘계엄 손배’ 줄소송 이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