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간 이재명 "전두환 비석, 올때마다 밟고 간다..전두환씨 그 분 제발 오래 사셔라"

박홍두 기자 입력 2021. 10. 22. 10:28 수정 2021. 10. 22. 11: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2일 오전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면서 ‘전두환 옹호’ 발언으로 설화를 겪고 있는 국민의힘 대선 주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직격했다. 이 후보는 묘지 초입에 있는 ‘전두환 비석’을 “올 때마다 밟고 간다”며 “전두환씨 그 분이 제발 오래 사셔서 꼭 처벌을 받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광주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밝혔다.

이 후보는 먼저 “전두환이라는 이름을 쓸 때마다 뒤에 뭐라고 호칭해야 할지 모르겠다. 대통령 예우가 박탈됐죠?”라며 ‘전두환씨’라고 불렀다. 그는 “전두환씨는 내란범죄의 수괴고, 집단학살범”이라며 “국민이 맡긴, 국민을 지키라는 총칼로 주권자인 국민을 집단살상한, 어떠한 경우에도 용서할 수 없는 학살 반란범이다”라고 규정했다.

이어 이 후보는 “저는 끊임없이 생각하는 게 국가의 폭력범죄에 대해서는 ‘살아있는 한 처벌한다, 영원히 배상한다’라는 공소시효·소멸시효를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독일) 나치 전범은 지금도 추적해서 처벌한다. 그래야 다시는 독일에서 나치전범 같은 사례 생기지 않을 테니까 그런 것”이라 “우리 사회도 당연히 국가의 폭력범죄에 대해서는 공소시효·소멸시효를 다 배제하고 살아있는 한 반드시 처벌하고 영원히 배상하고 영원히 진상규명하고 기록하는 노력을 국가가 기울여야 이런 사건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후보는 “전두환씨 그 분, 좀 제발 좀 오래 사셔가지고 법률을 바꿔서라도 처벌받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참배 일정과 관련해 “이 나라의 민주주의는 광주의 피로 만들어진 것”이라며 “대한민국의 많은 사람들이 광주로 인해 인생을 바꿨는데 제가 바로 그 사람중에 한 사람이다. 1980년 5월 광주의 진상을 알지 못하고 반대로 알고 있어서 왜곡된 언론과 폭력적 정권으로 광주를 비난하는 2차 가해에 가담했던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후 광주의 진상을 알고, 이 사회의 부조리함과 소수 기득권자들의 조작과 선동, 민주주의 파괴라는 것을 직접 겪고 민주주의가 살아있는 공정한 세상 만들자, 인생을 통째로 바꿔서 광주는 나의 사회적 삶을 새롭게 시작하게 한 사회적 어머니라고 말씀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선을 앞두고) 당연히 가장 먼저 찾아와서 인사드리고 앞으로 어떤 길을 갈지를 다짐해보는 곳”이라고 의미를 두면서 “국정감사 준비와 시행 때문에 늦어진 것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언제나 가장 빨리와서 인사드릴 곳이 5·18묘역이 맞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의 전날 전두환 옹호 발언 논란과 관련해선 “특별히 놀랍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이 후보는 “민주주의는 어느 날 저절로 오는 것이라고 보통 생각하지만 수많은 사람의 피땀으로 만들고 지켜온 것”이라며 “민주주의 또는 인권과 평화를 위해서 어떤 역할도 하지 않았고. 민중들의 피땀으로 만들어진 체제 속에서 혜택만 누리던 분이어서 전두환이라는 이름이 가지는 그 엄혹함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살인·강도도 살인·강도했다는 사실만 빼면 좋은 사람일 수 있다(라고 하는데). 무슨 말씀을 더 드리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 후보는 이날 묘지 초입에 있는 ‘전두환 비석’에 대해선 “(이제) 다음 묘역으로 갈 텐데 올 때마다 잊지않고 꼭 밟고 지나간다”며 “(오늘도) 그걸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홍두 기자 ph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