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존 30%서 15%로 낮춰
구글이 애플리케이션(앱) 장터 구독 수수료를 기존 30%에서 15%로 인하한다. 특히 전자책,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대해선 최저 10%까지 낮추기로 했다. 최근 반독점 소송을 비롯한 규제당국의 압박에 대한 유화책으로 풀이된다.
다만 최대 수익원인 단건 인앱결제에는 수수료 인하가 적용되지 않아 비판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21일(현지시간) 개발자 블로그를 통해 "2022년 1월 1일부터 구글 플레이의 모든 구독에 대한 서비스 수수료를 30%에서 15%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현재 구글은 앱 출시 첫해에 개발사에서 구독료 수입 중 30%를 고정 서비스 수수료로 받은 뒤 이후 15%를 청구하고 있다. 구글은 " 전자책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최저 10%의 서비스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월 디지털 콘텐츠 구독 수수료를 15%로 감면하는 내용을 골자로 발표한 '구글 플레이 미디어 경험 프로그램'을 보강한 조치다. 다만 해당 정책은 구독 기반 서비스에 한정되며 일반 인앱결제 관련 수수료는 기존의 30%를 유지할 계획이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현재 구글 플레이의 최대 수익원인 게임은 대부분 구독 없는 인앱결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우수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매일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5년전 알파고에 충격, AI 독학…문과 출신이지만 특허도 땄죠"
- 구글, 구독 수수료 절반 인하…`인앱결제` 놔둔 채 생색내기
- "택시 더 빨리 잡히겠네"…택시호출 3파전 불붙었다
- 자율주행·음식 픽업까지…티맵·쏘카 플랫폼 영토 `쭈욱` [Digital+]
- 우리는 모두 게이머다! 2021 SeN FESTIVAL
- `만취 음주운전` 김새론, 동승자와 검찰 송치
- [단독] `제3 판교 테크노밸리`소식에…반도체 회사 41곳 벌써 줄섰다
- 신재은, 볼륨감 넘치는 남다른 몸매 과시
- "공중분해 되고파"…이경진, 초고속 파혼 진실 고백
- 하니, ‘10살 연상’ 의사 양재웅과 열애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