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구글, 앱 구독 수수료 30%→15%로 낮춘다..인앱결제는 유지
최은수 입력 2021. 10. 22. 18:16기사 도구 모음
구글이 자사의 앱스토어인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앱)의 구독 서비스에 부과하는 수수료를 절반낮추기로 결정했다.
다만, 구글은 구독 기반 서비스가 아닌 일반 인앱결제 관련 수수료는 기존의 30%를 유지할 계획이다.
특히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최대 수익원인 게임의 경우 대부분 구독 서비스가 없고 인앱결제(앱 내부에서 건별로 결제하는 방식) 방식을 사용해 여전히 30%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게임 등 건별 결제 많은 인앱결제 해당 안 돼
구글이 자사의 앱스토어인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앱)의 구독 서비스에 부과하는 수수료를 절반낮추기로 결정했다.
21일(현지시간) 구글은 자사 안드로이드 개발자 블로그를 통해 내년 1월 1일부터 구글 플레이스토어가 모든 앱의 구독 수수료를 기존 30%에서 15%로 줄인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동안 구글은 제3자 앱의 구독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첫 해에는 30%, 이후에는 15%의 수수료를 적용해왔다.구글은 이번 수수료 개편 정책으로 전체 앱 개발자의 99%가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구글은 전자책, 음원 스트리밍, 동영상 앱 등 미디어 앱의 수수료를 10%까지 줄인다는 계획도 내놨다. 기존 수수료는 15%였다.
다만, 구글은 구독 기반 서비스가 아닌 일반 인앱결제 관련 수수료는 기존의 30%를 유지할 계획이다.이에 따라 주로 앱 내부에서 건별로 결제하는 게임 등의 서비스에는 큰 영향이 없을 전망이다.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은 주로 언론사 앱, 넷플릭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등 미디어 및 생산성 관련이 해당된다.
특히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최대 수익원인 게임의 경우 대부분 구독 서비스가 없고 인앱결제(앱 내부에서 건별로 결제하는 방식) 방식을 사용해 여전히 30%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애플도 구글과 마찬가지로 모든 구독 서비스에 대해 첫 해에는 30%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또 한국에선 '구글갑질방지법'을 통과시켜 구글 등 플랫폼 기업이 인앱결제 방식을 두고 특정 결제 방식만 강제하는 행위를 세계 최초로 금지했다.
Copyrights ⓒ (주)데일리안,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데일리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방통위,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 후속조치…사실조사 예고
- [국감 2021] 한상혁 “방통위, 플랫폼 제도 정비…인앱결제 하위 법령 마련”
- 세계 첫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 시행…방통위 “공정한 생태계 기대”
- ‘인앱결제’ 백기 든 구글 “법 지킬 방법 찾는 중…수주 내 공지”
- "애플, 외부결제 '안내'만 허용할뿐 인앱결제 강제는 여전"
- 檢 '이재명 변호사비 대납 의혹'과 '쌍방울 횡령' 통합…본격 수사 시작되나
- 尹대통령 지지율 1%p 반등한 25%…'부정' 66% [갤럽]
- 박성민 "비경찰대 출신 '승진 차별' 갈수록 심화…순혈주의 폐해"
- [D:영화 뷰] 신파 외면하는 관객, 영화계는 '고민'
- ‘불타오르네’ 매일 맹타 김하성, 타티스 주니어 어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