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범죄 목사 영구제명"에 목사 44.6%만 "동의"

신진호 2021. 11. 18. 18: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목사가 교인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경우 다시는 목회자를 못하도록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교인들과 목회자 간 생각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신교인 5명 중 4명은 목사가 교인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영구 제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데 비해 목회자들이 '영구 제명'에 동의한 경우는 절반에 못 미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인 800명·목사 200명 대상 성인지 조사
교인 86.5% "성범죄 목사, 영구제명해야"

목사가 교인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경우 다시는 목회자를 못하도록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교인들과 목회자 간 생각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신교인 5명 중 4명은 목사가 교인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영구 제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데 비해 목회자들이 ‘영구 제명’에 동의한 경우는 절반에 못 미친 것이다.

‘교인 대상 성범죄 영구제명’ 교인 86.5% vs 목사 44.6%

18일 기독교반성폭력센터가 발표한 ‘개신교 성인지 감수성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인 응답자 800명 중 86.5%가 교인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일으킨 목사를 영구 제명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목사직을 정직시키고 일정 기간이 지나 충분히 회개한 뒤 복권시킬 수 있다’는 항목에 동의한 교인의 비율은 9.7%에 불과했다.

그러나 목회자들의 여론은 이와 대조적이었다.

설문에 응한 목회자 200명 중 영구 제명에 동의한 비율은 44.6%에 그쳤다. 목회자 중 절반 이상은 ‘복권 기회를 줘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

목사직 정직과 회개를 조건으로 향후 복권 기회를 줄 수 있다는 데 동의한 답변은 49.0%로 영구 제명 답변보다 더 많았다.

‘교인과 부적절 관계’엔 목사 49.6%만 “영구제명”

목사와 교인 간에 성범죄가 아닌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을 경우 처리를 놓고도 교인과 목회자 간 입장은 확연히 달랐다.

교인 응답자들은 부적절한 관계에 대해서도 85.0%가 영구 제명해야 한다고 답했다. ‘목사의 성범죄’에 대한 영구 제명 비율(86.5%)과 거의 비슷하다.

이에 비해 목사 응답자들은 부적절한 관계에 대해 49.6%만이 영구 제명해야 한다고 답했다.

단순 비교하면 목사들은 교인을 상대로 한 성범죄(44.6%)보다 교인과의 부적절한 관계(49.6%)를 더 엄격하게 바라보고 있는 셈이다.

‘목사가 금하거나 조심해야 할 일’로는 교인 응답자의 41.5%, 목사의 51.9%가 ‘성범죄·성적 스캔들’을 꼽았다.

이어 ‘부정직한 재정 사용·돈 욕심’이 각각 19.5%, 18.9%로 조사됐다.

교회 내 성범죄 대처와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

목사 응답자의 93.7%는 ‘잘 갖춰져 있지 못하다’고 봤다. 교인 응답자 55.9%도 같은 의견을 보였다.

성범죄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이유로 목사 응답자의 35.6%가 ‘사건을 덮는 데에만 급급한 것 같다’고 했고, 교인 응답자는 ‘사건을 제대로 처리할 공적 기구가 없는 것 같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번 조사는 센터가 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올 8월 30일∼9월 9일 교회를 출석하는 만 19∼65세 교인과 목회자 등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