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가지 변이 유전체 지닌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과학계 긴장

박은하 기자 2021. 11. 26. 0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만든 코로나19 바이러스 3D 이미지


수십가지 이상의 변이가 가능한 새로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견돼 과학자들이 긴장하고 있다고 가디언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B.1.1.529’(누 변이)로 불리는 이 변종 바이러스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32가지 변이 유전체를 지니고 있다. 바이러스는 표면의 돌기 모양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을 통해 사람의 세포 속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면 전파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변이가 이뤄지면 백신 접종 등으로 형성한 기존의 면역 시스템이 병원균에 저항하는 일도 어려워진다.

이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보츠와나, 남아공, 홍콩 3개 지역에서 총 10건 발견됐다. 보츠와나에서 지난달 11일 처음 확인됐으며 이후 보츠와나에서만 2건 더 발견됐다. 보츠와나와 인접한 남아공에서 추가로 6건 발견됐다. 남아공을 20일 간 방문하고 돌아온 36세 홍콩 남성이 귀국 이틀 만에 확진판정을 받으며 1건이 추가로 보고됐다. 바이러스의 대륙 간 전파가 이미 이뤄진 것이다. 남아공 정부는 새 변이 바이러스를 확인했으며 전염력이 높을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남아공에서는 수도권 하우텡주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다.

누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은 아직 미지수이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바이러스 학자인 톰 피콕 박사는 B.1.1.529 변이종의 바이러스 정보를 유전체 정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하면서 “매우 많은 양의 스파이크 돌연변이가 크게 우려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변이 수가 너무 많으면 바이러스가 불안정해지고, 이에 따라 확산하기 전에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 피콕 박사는 트위터에 “매우 면밀하게 모니터링해야 하지만 이 바이러스는 전파 불가능한 괴이한 단백질 덩어리에 지나지 않게 될 수도 있다”며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프랑수아 발루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유전학 연구소 교수는 ‘한 차례의 폭발적 변이’가 일어나면서 이 특이한 바이러스가 형성됐으며, 폭발적 변이는 에이즈 감염자 등 면역력이 약한 만성질환자의 몸에서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그는 “현재로서는 전염력을 예측하기 어렵다. 면밀히 지켜봐야 하며, 가까운 장래에 폭발적으로 감염이 늘지 않는다면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가디언에 말했다.

박은하 기자 eunha999@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