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직장인 21% "직장 갑질 신고했다가 '보복' 당해"
권오은 기자 입력 2021. 12. 05. 16:17기사 도구 모음
직장갑질119는 공공상생연대기금과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21.4%가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했다는 이유로 불리한 처우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직장갑질119는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에는 신고를 이유로 불리한 처우를 할 경우 처벌 조항이 있지만, 현실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라며 "보복 갑질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회사에서 상사에게 폭행과 폭언을 당했다. 가해자는 변호사를 선임했고 나는 혼자 대응하고 있다. 소송에서 지면 무고죄로 역고소당하게 될까 걱정이다.” (직장인 B씨)
직장갑질119는 공공상생연대기금과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21.4%가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했다는 이유로 불리한 처우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 7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됐다.
직장갑질119가 또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신원이 확인된 이메일 제보 1001건 가운데 회사나 노동청 신고까지 이어진 사건 402건을 분석한 결과, 신고를 이유로 노동자가 불이익을 당한 경우가 139건으로 신고 건수 대비 34.6%에 달했다.
하지만 이 같은 ‘보복’이 처벌로 이어지는 경우는 극소수였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직장 내 괴롭힘 신고 사건 4301건 가운데 피해 신고 후 불이익을 당한 경우와 관련해 검찰에 기소 의견으로 사건이 송치된 건수는 15건이었다.
직장갑질119는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에는 신고를 이유로 불리한 처우를 할 경우 처벌 조항이 있지만, 현실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라며 “보복 갑질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직장 내 괴롭힘이나 성희롱을 신고했다는 이유로 무고나 명예훼손으로 형사 고소하거나 손해배상 민사소송을 협박하는 경우는 신고를 취하하게 만들기 위한 협박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실제 고소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이어지더라도 대법원 판결에 따라 무고죄 성립은 매우 어렵고 손해배상도 인정되기 쉽지 않다”고 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천정부지 항공권 싸게 사려면… “신규·재운항 노선 노려야”
- [K바이오리더] 송윤정 마티카바이오 대표 “美 텍사스 공장 준공 한달만에 세포·유전자치료제
- [단독] 생애최초 취득세 200만원 감면, 증여·상속·신축 취득은 해당 無...’반쪽 혜택’ 논란
- 운동화 NFT 사볼까?…걸으면서 채굴하는 스테픈 코인, 6일 만에 50% 넘게 급등
- 경제위기 속 ‘사자돌림’ 전문직 인기… 공인회계사·관세사 시험장에 ‘2030′ 북적
- 쏟아지는 개발 계획에… 기대감 커진 이수역 일대
- 재건축 우선이라더니… 금리인상에 뒤로 밀린 공급책
- 캠리보다 쏘나타… 하이브리드 원조 日보다 연비 좋은 국산
- 매출 4兆 돌파 유력한데 주가는 반토막…아들 후방지원 나선 윤윤수 휠라홀딩스 회장
- [르포] 나무 무늬에 질감까지… 동국제강 컬러강판 공장 가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