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지난달 22일 올해분 종합부동산세 고지서가 발송된 후 잘못된 세금을 안내받았다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현 정부 들어 스무번 넘는 부동산 대책이 나오면서 세제가 복잡해진데다 올해 종부세 대상이 94만7000명으로 작년 대비 42% 급증한 영향이다. 과세 오류가 있더라도 정부 차원에서 이를 모두 바로잡기는 어려운 만큼, 납세자 스스로 본인에게 부과된 세금이 적정한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7일 세무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등록 임대주택 사업자들의 종부세 관련 검증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가장 흔한 사례가 임대주택이 종부세 부과 주택 수에서 제외되는 ‘합산 배제’ 대상인데 합산되면서 다주택자 중과세율(1.2~6%)을 적용받는 경우다. 정부는 2018년 ‘9·13 대책’을 발표하며 이날 이후 신규 취득한 임대주택에 대한 종부세 합산 배제 혜택을 폐지했다. 대책 발표 전 취득한 주택은 대책 이후 임대로 등록해도 종부세 합산 대상이 아닌데, 과세 당국이 등록 시점을 기준으로 종부세를 매기면서 착오가 생긴 것으로 파악된다.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통해 신축 아파트를 갖게 된 경우도 종부세가 잘못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 주택 취득일을 기존 주택이 아닌 새 아파트로 계산하면 20~50%의 장기보유 감면혜택이 사라질 수 있다. 실제 지난달 서울 강남의 한 재건축 아파트에서 이런 사례가 발견돼 국세청이 납세자들에게 정정 안내문을 발송하기도 했다.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 1주택자가 상속 등의 이유로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지분을 추가로 갖게 된 경우, 지분율이 20% 이하고 지분의 공시가격이 3억원 이하라면 다주택자가 아닌 1주택자 세율(0.6~3%)을 적용받아야 한다.
종부세 고지서에 오류가 확인된 경우, 이달 15일까지 납세자가 정확한 세액을 산출해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나 지역 세무서에 신고하면 된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바이든 “北에 코로나 백신 제안했지만 답 없어, 김정은 진지해야 만날 것”
- “계약금만 20억원”…태권도 레전드 문대성, 日격투기 선수 거절한 이유
- ‘박근혜 특활비 상납’ 남재준·이병기, 尹정부 첫 가석방에 포함
- 김건희, 만찬 직전 바이든과 만났다…박물관 관람도
- 칸 찾은 이정재 “전 세계에서 정우성을 제일 멋있게 찍고 싶었다”
- 文, 바이든과 10분 통화… DMZ 철조망 녹여 만든 십자가 선물
- 송영길 “이재명·심상정 단일화 했다면 이겼을텐데…너무나 억울”
- 만찬 메뉴는 미국산 소갈비·팔도 나물 비빔밥…“조화 의미”
- 대통령 집무실서 500m 거리 노후 아파트서 화재...35명 대피
- “내 영광은 훌륭한 친구 있는 것” 尹, 바이든 좋아하는 詩로 건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