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영국도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동참..도미노 우려에도 중국 "신경 안써"

베이징|이종섭 특파원 입력 2021. 12. 8. 13:51 수정 2021. 12. 9. 08: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모리슨 총리 “국익 옹호 입장 고수”
신장 인권 문제·무역 갈등 등 언급

베이징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홈페이지 캡쳐


미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하자 호주와 영국 등 동맹국들이 속속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일본과 캐나다 등으로 동참국이 늘어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중국은 올림픽의 주인공은 선수들이라며 “정치인들이 오든 안 오든 신경쓰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선수들을 중심으로 간소하게 올림픽을 치르는 방식으로 보이콧 움직임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8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관계자들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모리슨 총리는 “그간 중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지역 인권 탄압과 호주에 대한 무역 보복 등 호주가 제기한 여러 문제에 응답하려는 시도를 한 적이 없다”며 “우리는 호주의 이익을 옹호하려는 강력한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을 것이며 호주 관리들을 올림픽에 보내지 않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이날 의회에서 올림픽 보이콧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사실상의 외교적 보이콧이 있을 것”이라며 “어떤 장관들도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내가 지난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했을 때 그랬던 것처럼 정부는 중국과 관련된 이슈를 제기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고도 강조했다.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한 지 하루 만에 호주와 영국까지 동참을 선언하면서 현재까지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공식화한 나라는 5개국이 됐다. 앞서 대만 문제로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리투라아니아가 이번 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뉴질랜드도 코로나19 등을 이유로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는 입장을 중국 측에 전달했다.

보이콧 동참 국가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산케이(産經)신문은 이날 일본 정부가 각료 파견을 보류하는 방향으로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동맹국으로 중국과 갈등 관계에 있는 캐나다도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겉으로는 개의치 않겠다는 반응이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보이콧 도미노’를 우려하느냐는 질문에 “올림픽의 주역은 각국 선수들이지 정치적 사익을 위해 보이콧을 외치는 정치인이 아니다”라며 “그들이 오든 안 오든 아무도 신경 쓰지 않으며, 검소하고 안전하며 멋진 올림픽을 치르는 데도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중국 전문가들도 외교적 보이콧의 파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뤼샹(呂祥)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글로벌타임스에 “각국은 (보이콧 결정에 있어) 그들 나라에 대한 중국인의 감정 변화를 고려하게 될 것”이라며 “두세 나라는 미국을 따르겠지만 더 이상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의 경제·무역 관계 등을 고려해 많은 나라들이 보이콧을 선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자오커진(趙可金) 칭화대 교수는 “중국은 이번 동계올림픽을 국력이나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 역량을 보여줄 기회로 보지 않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말했다. 이미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을 개최한 경험이 있고, 외빈이 많아질 수록 코로나19 방역 비용만 높아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중국의 이같은 반응은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에 맞설 마땅한 카드가 없는 상황에서 나온 궁여지책 성격도 강하다. “초청하지도 않았다”, “코로나19로 어차피 많이 초청할 계획도 없었다”며 파장 최소화에 나선 것이다. 실제 중국 입장에서 2028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에 대해 외교적 보이콧으로 맞불을 놓는다고 해도 6년이나 뒤의 일이고, 대화 단절 같은 강경 카드를 섣불리 꺼냈다가는 중국의 인권 문제만 더 부각시키는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다.

베이징|이종섭 특파원 noma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