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우크라이나' 정상회담..미, 중-러 압박 가속화..러 "책임 떠넘기지 말라"

김기현,김준호 입력 2021. 12. 8. 21:47 수정 2021. 12. 8. 22: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국과 러시아 정상이 스위스 제네바 회동 이후 여섯 달 만에 화상으로 다시 만났습니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싸고 커지는 군사적 긴장이 화두였는데, 워싱턴과 모스크바 동시에 연결해 살펴봅니다.

먼저, 워싱턴 김기현 특파원! 미-러 정상회담, 꽤 긴 시간 동안 진행됐죠?

[기자]

네, 121분, 두 시간 넘게 계속됐다는 게 미국 백악관 발푭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같은 군사 행동에 나설 경우 동맹들과 함께 강력히 대응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제이크 설리번/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다시 침공할 경우 미국과 유럽 동맹국들이 강력한 경제 조치로 대응할 거라고 직접 말했습니다. 우리는 그간 해왔던 것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방어 수단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할 것입니다."]

미국이 검토 중인 경제적 대응 조치에는 러시아에서 독일로 이어지는 천연가스관 폐쇄는 물론 루블화와 달러 간 환전 중단 등 러시아를 세계 금융시장에서 따돌리는 방안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러 화상회담 직후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영국 정상들과 잇따라 통화하면서 공조를 다짐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모스크바 김준호 특파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는 이유가 무엇 때문이라고 했나요?

[기자]

네, 이번 회담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의 동진정책 중단을 요구하며, 우크라이나 긴장 고조의 책임이 미국과 유럽 등 서방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나토의 동진과, 러시아 인접 국가에 공격 무기를 배치하지 못하도록 법률적으로 명시된 보장을 받는데 큰 관심이 있다는 뜻을 바이든 대통령에게 전달했다고 크렘린궁은 밝혔습니다.

[푸틴/러시아 대통령/지난 1일 : "나토가 동쪽으로 확장하지 않겠다고 구두 약속해 놓고, 실제로는 그 반대로 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앵커]

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옛 소련에 속했던 나라인데요.

왜 두 나라가 갈등을 빚고, 더 나아가 러시아와 서방 사이 대립으로 확대되고 있는 거죠?

[기자]

네, 1991년 옛 소련 해체와 함께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2014년 크림반도 병합과 돈바스 지역 내전 등을 놓고 러시아와 충돌했고, 나토와 유럽연합 EU 가입을 추진하며 친서방 노선을 걷고 있습니다.

2019년엔 EU와 나토 가입 추진을 헌법에까지 명시했습니다.

동서 냉전 종식 이후 폴란드와 헝가리, 발트 3국, 루마니아 등 상당수 중·동부 유럽 국가들이 안전 보장을 위해 나토에 가입했습니다.

여기에 우크라이나까지 나토에 가입하면 러시아로선 이른바 완충지대가 사라져 안보에 위협에 된다는 입장입니다.

결국 자기 길을 가려는 주권 국가 우크라이나와 이를 지지하는 미국 등 서방 측과, 자신의 전략적 이익과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하는 러시아 사이의 대립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다시 워싱턴 김 특파원! 미국이 중국에 이어 러시아와도 대립각을 세웠는데, ​곧 있을 민주주의 정상회의도 연장선 상에 있다고 봐야겠죠?

[기자]

네, 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각 9일과 10일 이틀 동안 한국을 비롯한 백여 개 나라가 화상으로 참석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개최합니다.

권위주의와 부패에 맞서고 인권을 촉진하겠다는 기치를 내걸었는데, 사실상 이번 회의 초청 대상에서 제외된 중국과 러시아를 압박하는 성격이 강합니다.

민주주의 강화라는 공동 목표를 내세우고 동맹과 함께 위협에 맞서겠다는 게 미국의 구상이라는 겁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이번 회의에 어떤 형태로든 대응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신 냉전 구도가 분명해지는 계기가 될 거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워싱턴과 모스크바를 연결해 소식 들었습니다.

촬영기자:오범석/영상편집:이태희 고응용/자료조사:권도인

김기현 기자 (kimkh@kbs.co.kr)

김준호 기자 (jhk88@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