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유니콘 고공 행진을 보는 다른 시선

고경봉 2021. 12. 9. 00: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대형 증권사 사장이 최근 임직원과 대화하다가 "주가를 끌어올릴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있다"며 눈을 반짝였다.

"일단 적자 전환을 하는 거야. 그리고 플랫폼이나 핀테크를 사업 목적에 추가하는 거지. 어때?" 물론 농담이다.

사상 최대 실적을 구가하면서도 주가가 옆으로 기는 증권사들과 적자임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혁신기업들을 비교하면서 부러움과 답답함에 나온 넋두리였을 것이다.

지난달 상장한 이 새내기 핀테크 회사의 시가총액은 19개 상장 증권사의 몸값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경봉 마켓인사이트부장

한 대형 증권사 사장이 최근 임직원과 대화하다가 “주가를 끌어올릴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있다”며 눈을 반짝였다. “일단 적자 전환을 하는 거야. 그리고 플랫폼이나 핀테크를 사업 목적에 추가하는 거지. 어때?” 물론 농담이다. 사상 최대 실적을 구가하면서도 주가가 옆으로 기는 증권사들과 적자임에도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혁신기업들을 비교하면서 부러움과 답답함에 나온 넋두리였을 것이다.

우리는 자본시장의 전례없는 현상을 목도하고 있다. 카카오페이가 그렇다. 지난달 상장한 이 새내기 핀테크 회사의 시가총액은 19개 상장 증권사의 몸값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 이들 증권사의 올해 영업이익 총액은 사상 처음 10조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도 설립 후 한 번도 흑자를 내본 적 없는 5년차 핀테크 업체가 ‘올킬’해버렸다.

 증권사 19곳보다 비싼 '카페'

지난 3월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쿠팡의 시총이 100조원을 넘겼을 때만 해도 상당수 투자자는 ‘이게 말이 되느냐’는 반응을 보였다. 7월 카카오뱅크가 등장해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를 합친 몸값을 추월했을 때는 ‘그럴 수도 있겠다’고 했다. 최근 카카오페이의 약진을 보면서는 이제 ‘당연하다’는 듯 인식한다.

이 인식은 투자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요즘 플랫폼·e커머스·핀테크·가상화폐 등 이른바 혁신 분야 장외 기업들의 몸값은 자고 일어나면 치솟는다. 마켓컬리는 작년 중순 9000억원이던 몸값이 올해 중순엔 2조5000억원, 최근엔 4조원이 됐다. 2018년 400억원이던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는 올초 몸값이 1조원을 넘었고 최근엔 2조원대로 거론된다. 3년 전 400억원이던 당근마켓은 이제 3조원이 됐다. 모두 여전히 적자 기업이다. 주가수익비율(PER) 등 수익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가치 척도는 뒷전으로 밀려났다. 투자자들은 성장성과 외형, 스토리 등으로 몸값을 따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의 투자 유치 과정을 들여다보면 찜찜한 구석이 적지 않다. 우선 일부 투자자가 부른 몸값을 그대로 인정해야 할지부터 헷갈린다. 그러기엔 투자 유치 금액이 적은 경우가 너무 많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얼마 전 650억원을 투자받으며 5조원의 가치를 인정받았는데, 이는 5개월 만에 1조원 불어난 것이었다.

 상장 전 몸값 높이기 논란도

투자자들이 수십~수백억원만 쥐여주면 기업가치는 천억~조원 단위로 뛰는 형국이다. 투자자가 누군지 제대로 밝혀지지 않는다. 누군가가 기업가치를 인정했으니 일단 믿으라는 식이다. 기업들도 투자받을 때마다 시리즈A, B, C 등으로 나눠가며 찔끔찔끔 여러 번 받는다. 약 10년 전만 해도 벤처캐피털 투자 유치는 3~4번 정도가 관례였다. 그다음은 기업이 자생력을 갖추든지, 상장하든지 하는 식이었다. 요즘은 5~6번이 기본이다. 마켓컬리의 최근 투자 유치는 시리즈G였다. 이 정도 여러 번 돈이 필요했다면 차라리 상장하는 게 맞지 않았을까.

몸값을 한껏 높여놓고 나면 그제야 기업들은 증시 입성 채비를 꾸린다. 그 상황이 되면 금융당국도 이미 부풀려진 몸값을 평가절하하기가 쉽지 않다. 얼마 전 투자은행(IB)업계엔 “거래소가 기업의 마지막 투자 유치 당시 기업가치를 공모 희망가 하단으로 인정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진위야 알 수 없지만 기업으로선 미리 몸집을 키워놓으면 상장 때 그만큼 고평가될 여지가 크다는 얘기다. 상장 후 벤처캐피털들이 떠나고 나면 그 부담을 짊어져야 하는 건 개인투자자다. 이들 기업의 성장과 증시 입성을 마냥 흐뭇하게 보기 어려운 이유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