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국어, 유엔·국제기구 공용어로 만들자'..반크, 캠페인 전개
왕길환 입력 2021. 12. 21. 09:44기사 도구 모음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한국어를 유엔 및 국제기구 공용어로 지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21일 밝혔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지옥' 등의 인기와 방탄소년단(BTS)을 필두로 한 K-팝 열기, '기생충', '미나리'로 이어지는 K-영화 열풍 등으로 형성된 한류 팬 1억 명 시대에 유엔과 국제기구의 한국어 공용어 지정은 마땅하다"며 "한국도 정부 차원에서 노력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한국어를 유엔 및 국제기구 공용어로 지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유엔의 공용어는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러시아어, 아랍어 등 6개 언어다. 유엔 공용어 지정은 국가들의 요구에 따라 유엔 총회 회원국 투표에 의해 결정된다.
일본은 1980년대부터 자국어를 유엔 공용어로 채택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2018년 힌디어의 공용어 채택을 추진했지만 실패한 바 있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지옥' 등의 인기와 방탄소년단(BTS)을 필두로 한 K-팝 열기, '기생충', '미나리'로 이어지는 K-영화 열풍 등으로 형성된 한류 팬 1억 명 시대에 유엔과 국제기구의 한국어 공용어 지정은 마땅하다"며 "한국도 정부 차원에서 노력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유엔 공용어에 한국어 등재는 국제기구에 관심 있는 전 세계 청소년들에게 한국어를 배우게 하는 동기 부여가 되고,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한국어의 번영을 반석 위에 세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7월 유엔무역개발회의가 만장일치로 우리나라의 지위를 '선진국'으로 변경한 사실도 한국어를 공용어로 지정하는데 유리한 배경이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중국은 국가 차원의 지원에 힘입어 지난 1월 중국어를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의 공식 언어로 만들었다. 이로써 UNWTO 공식 언어는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에 이어 중국어까지 6개로 늘어났다.
반크는 '유엔 및 국제기구 공용어에 한국어 등재 캠페인'이라는 제목의 포스터를 제작해 소셜미디어(SNS)에 배포하고 있으며, 국제청원(bridgeasia.net)도 올렸다.
청원에서는 "대한민국 정부, 문화체육관광부, 외교부는 한국어가 유엔 및 국제기구 공용어로 지정될 수 있도록 문화, 외교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ghwang@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바이든, 백악관서 BTS 만난다…"反아시안 증오범죄 퇴치 논의" | 연합뉴스
- 윤미향 "한일합의 최종안 몰랐다…외교부, 굴욕적조항 설명안해"
-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 매곡동 집 산 사람은 기업인 홍성열
- '대통령실 경비' 101경비단서 실탄 6발 분실…9일째 못 찾아
- '한국의 이소룡' 액션배우 신일룡 별세
- '경관의 피'·'스토브 리그' 배우 이얼, 암투병 끝 별세
- '성폭행' 강지환, 드라마 제작사에 53억 배상 판결…2심도 패소
- '사직의사 표명 없었다'는 서울대에 조국 "분명히 말했다" 반박
- '승츠비'의 추락…스타 출신 사업가에서 퇴출 이어 징역형 확정
- '윤재순 딸' 용산 출근?…대통령실 "사실 아냐, 앞으로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