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절벽에 승객 반토막..버스터미널 줄폐업 위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고속버스나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줄어들면서 지역 버스 터미널들이 폐업 위기에 처했습니다.
특히 인구 절벽에 처한 농어촌 지역은 사정이 더 심각한데요.
여기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문을 닫는 곳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문연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평일 오전, 버스터미널이 썰렁합니다.
고속버스나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승객 수가 최근 수년 새 반 토막 났습니다.
[매표소 직원] "과거에는 (하루 승객이) 6, 7백 명, 많이 갈때는 천 명도 가까이 갔거든요. 지금은 2백 명도 안되고…"
버스터미널의 쇠락은 오래전부터 예고된 상태, 특히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에 처한 농어촌지역 터미널들은 줄 폐업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가용 문화 확산과 고속철도 연결, 여기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면서 버스터미널이 설 곳을 잃고 있습니다.
터미널 운영 업체는 매표 수입이 급감하고 상가 임대수익마저 쪼그라들면서 더이상 버틸 수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박일상/전국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 전남지부장] "법으로 시설비 지원을 받게 돼 있는데 재정적 지원을 전혀 못받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경영난이…"
폐업한 일부 터미널은 지자체가 나서 운영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대책은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터미널 두 곳을 직접 운영하는 영암군은 매달 수천만 원의 적자를 떠안으면서 큰 재정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폐업 등 사정으로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터미널은 전남에서만 6곳, 이 밖에도 폐업을 예고한 터미널도 상당수 있습니다.
그 피해는 터미널을 주로 이용하는 농어촌 주민들, 특히 노약자들에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MBC뉴스 문연철입니다.
영상취재: 민정섭/목포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민정섭/목포
문연철 기자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326283_34936.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 이준석 "내가 빠져야 이긴다?" VS "윤핵관이 누구죠?"
- '이'빠진 선대위‥김종인 "내가 주도" 선언했지만
- 이재명 "과학기술부총리 신설‥'탈원전' 아니라 '감원전'"
- 尹 "영부인 표현 안 쓰겠다"‥'김건희 숨기기'로 돌파?
- 방역 지침 거부 299명 집회‥"더이상 빚낼 곳도 없다"
- "몸통 밝히려면 특검해야"‥"이미 당에 특검 요청"
- 윤석열 호남행‥"극빈층·못 배운 사람, 자유 모른다" 또 구설
- '대장동 실무' 김문기 성남도시공사 처장 숨진 채 발견
- "'세월호 막말'은 반인륜적 모욕‥차명진 126명에 1백만 원씩 배상"
- [제보는 MBC] "마지막 직장인데‥" 70대 노인 '20kg 모래주머니 들기'로 정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