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코로나 이혼' 많다는데..한국은 오히려 줄어든 이유

한지연 기자 2021. 12. 30. 08: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30일)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한 기자, 안녕하세요? 이제 올해도 오늘 내일 이틀밖에 안 남았습니다. 그런데 이게 코로나가 솔직히 올해는 이제 이맘때쯤 되면 끝나지 않았을까, 이렇게 연초에 기대했었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아요, 코로나가 이어지면서 참 많은 것들이 바뀐 것 같습니다. 그렇죠?

<기자>

네, 코로나 끝날 듯했는데 또 변이 바이러스 나오면서 끝나지 않고 있죠.

정말 코로나 초기만 해도 이렇게 오래 갈지 상상도 못했잖아요, 2년을 질질 끌면서 우리 삶도 많이 바뀌었죠.

달라진 사회상 또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잖아요, 한번 쭉 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관계입니다.

삼성생명 인생금융연구소에서 분석을 했는데요, 코로나 때문에 대면 모임이 줄면서 가족을 뺀 다른 사람과 관계가 크게 멀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 다른 사람이라는 것은 친인척도 포함되는데요, 멀어졌다는 수치가 37% 정도로 가까워졌다는 것보다 18배 많았고요.

이웃이나 절친과 멀어졌다는 답변도 비슷한 수치로 나왔습니다.

뭐 그렇다고 가족이 매우 가까워진 것은 또 아닌 게요, 아주 근소한 차이 0.3% 더 많이 나왔습니다.

그래도 가까워졌다는 게 조금이라도 많은 것은 가족이 유일합니다.

<앵커>

아무래도 이렇게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지다 보니까 가까워졌다는 응답이 좀 많은 것 같은데,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또 갈등도 커질 수도 있잖아요, 관련해서 이혼율 관련된 자료가 있다면서요?

<기자>

전 세계적으로는 이혼율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이 코로나 뜻하는 코비드와 이혼의 디보스를 합친 코비디보스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인데요, 집에서 부딪힐 시간이 많아지면서 불만, 갈등이 폭발하고 또 이혼으로 이어진 거죠.

그런데 특이하게 한국에서는요, 이혼율 줄었습니다.

지난해 이혼 건수 코로나 이전인 19년도보다 4% 가까이 줄었고요, 올해는 10월의 이혼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18% 가까이 줄었습니다.

왜냐, 한국인들 술 많이 마시죠.

외국인들이 본 한국인들 특징 중 하나가 금붕어 물 먹듯 술 마신다, 뭐 이런 우스갯소리도 있는데, 아무튼 원래 회식하면 1차, 2차, 3차까지 잘 이어지잖아요.

새벽에 들어가게 되면 부부 싸움 하게 되는데요, 거리두기 때문에 이 요인이 싹 사라졌고요.

또 이것은 약간 좀 웃픈 얘기인데 아까 분석에서 친인척 간 멀어졌다고 했잖아요, 이게 오히려 싸움거리를 줄이면서 이혼이 줄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코로나 때문에 아예 결혼 자체가 줄어든 것도 한 요인이고요, 가세가 기울면서 이혼을 하고 싶어도 재산 분할할 게 없어서 망설인다고 하네요.

<앵커>

여가활동도 참 많이 바뀌었죠, 2년 동안?

<기자>

그렇습니다. 먼저 앵커님은 코로나 시기에 여가활동 어떻게 좀 하셨어요?

<앵커>

아무래도 사람들 많이 가는 곳을 좀 피하게 되니까 주로 집에 많이 있었던 것 같고요, 집에 있으면 뭐 가끔 애랑 보드게임도 하고 책도 보고 또는 영상도 많이 보고 좀 그랬던 것 같습니다.

<기자>

그렇죠, 그게 뭐 나름대로 이제 집 안에서 많이 여가활동을 즐기시기는 했네요.

<앵커>

네, 노력 많이 했는데 잘 안 되더라고요.

<기자>

사실 코로나 신경 쓰면 외부에서 뭔가를 할 수가 없잖아요, 제가 굳이 수치로 말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외부 활동 많이 줄었다 다들 느끼실 텐데요.

해외여행은 말할 것도 없고 국내 관광조차 절반 정도 줄었고요, 공연, 경기 같은 거 보는 것도 3분의 1 정도로 줄었습니다.

뭐 거의 집콕 많이 했는데, 그런데 이렇게 집에 있는 시간 늘었다고 해도 책 보는 사람은 줄었다고 해요, 아까 앵커님처럼 동영상 보게 되니까 독서 인구 비율은 절반으로 줄었다고 합니다.

<앵커>

내년에도 코로나가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지금은 매우 높잖아요, 솔직히. 내년 좀 코로나 관련돼서 변화되는 트렌드 중에 하나가 욜로의 종말? 이런 얘기가 나온다고 하던데 이게 무슨 말입니까?

<기자>

일단 지난 2년간을 좀 살펴보면요, 일보다 일 외적인 가정 생활 이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이 더 늘었거든요, 워라밸이 많아진 거죠.

일이 우선이라는 비율은 코로나 전보다 8% 정도 줄었는데, 가정생활이 우선이라는 비율은 4% 정도 늘었습니다.

그런데 내년 트렌드 전망에서는 이거랑 조금 반대되는 게요, 한창 인기가 있었던 욜로가 끝날 거라는 거고요.

물론 이 욜로가 워라밸과는 같은 말은 아닙니다.

워라밸은 균형을 맞춘다는 거고 욜로는 아예 한 번 사는 인생, 지금 즐겨라 뭐 좀 더 극단적인 건데요.

코로나 때문에 어차피 즐길 수 없는 상황, 만족이라는 것을 조금 늦추고 또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니까 자기 통제감을 늘린다는 거죠.

그래서 자기 일상, 루틴을 관리하는 앱들도 요즘 엄청 잘되고 있잖아요, 저도 매일 운동량, 식단 이런 거 기록하는 거 사용하거든요.

일종의 자기 계발, 자기 관리인데 이런 경향 내년에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지연 기자jyh@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