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신용대출 6%까지..5대 시중은행 대출금리 7년來 최고
김정현 입력 2022. 01. 03. 17:13 수정 2022. 01. 03. 20:43기사 도구 모음
신용대출 금리가 6%(전체 신용등급 평균)까지 올라서는 등 연초부터 대출 금리 부담이 서민들을 옥죄고 있다.
지난해 11월 5대 시중은행의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평균 4.57%로 전달(3.85%) 대비 0.72%포인트 대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의 경우 1~2등급 차주의 신용대출 금리(3.72%)는 아직 3%대였지만, 3~4등급 5.13%, 5~6등급 6.11%, 7~8등급 8.01%, 9~10등급 10.93%을 보이며 전체 대출금리 상승세를 이끌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5대 시중은행 주담대·신용대출 금리 급등
기준금리 인상 선반영..'그래도 과하다' 의견도
금융당국, 금리는 시장에서 결정돼야 입장
앞으로 더 오를 듯.."인플레 감안시 상승할 듯"
[이데일리 김정현 기자] 신용대출 금리가 6%(전체 신용등급 평균)까지 올라서는 등 연초부터 대출 금리 부담이 서민들을 옥죄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총량을 4~5%선으로 제한하고 차주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강화하면서 은행권의 가계대출 ‘조이기’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신용대출 금리는 더 가파르게 뛰었다. 지난해 11월 5대 시중은행의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평균 4.57%로 전달(3.85%) 대비 0.72%포인트 대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대 은행 중 하나은행의 신용대출 금리가 평균 6.00%를 기록하며 신용대출 한파를 예고했다. 하나은행의 경우 1~2등급 차주의 신용대출 금리(3.72%)는 아직 3%대였지만, 3~4등급 5.13%, 5~6등급 6.11%, 7~8등급 8.01%, 9~10등급 10.93%을 보이며 전체 대출금리 상승세를 이끌었다.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일제히 급등하는 것은 올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수차례 올릴 가능성에 대비해 시장금리가 선제적으로 반응한 결과다. 기준금리 인상이 전망될 경우 은행이 대출금리를 산정할 때 참고하는 코픽스, 은행채 등 지표금리가 미리 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최근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상승세는 과도하다는 지적이 동시에 나온다. 주담대 금리가 현재와 비슷했던 2014년 7월 당시 기준금리는 2.50%로, 현재 기준금리(1.00%)보다 무려 1.50%포인트가 높았다는 점을 고려해서다. 이같은 기준금리 격차에도 불구, 비슷한 수준의 대출금리를 요구하는 것은 과하다는 것이다.
다만 시중은행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이 올해 가계대출 총량을 4~5% 증가 수준으로 규제하고 있는 만큼, 적절한 수익창출을 위해서는 대출금리 올리기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금융당국도 가계대출 총량과 달리 대출금리는 시장에서 결정되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이다.
앞으로도 가계대출금리는 계속 오를 가능성이 높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최근 가파른 물가상승률을 볼 때 기준금리 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에 따라 은행 대출금리도 향후 상승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정현 (thinker@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이데일리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안철수를 최고위원으로" 이준석에…국민의당 "어린아이 징징거림"
- '백신 홍보' 천은미 "부작용 왔지만…특수 체질"
- '실세 정치' 환기시킨 김종인, "윤석열 연기만 해라"
- 박신혜♥최태준, 22일(토) 웨딩마치…소속사 측 "날짜 외 장소 비공개" [공식]
- 나경원, "공부 잘하지만 도박 vs 예쁘지만 학력위조" 묻자...
- "날 무시해?"…'취중 분노'가 직장동료에 흉기 휘두르게 했다
- 새해 첫 여론조사, 윤석열 '2030'부터 70대까지, TK도 흔들렸다
- (영상)새해 첫 날, 돌에 묶여 언 강 위에 버려진 강아지
- 편의점서 여성들 보며 음란행위한 30대…"기억 안나"
- "남편 비해 부족"·"주식 3배↑" 김건희·이재명 풍자한 S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