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5% 성장도 위태"..中 인프라에 500조 쏟아붓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경기하강 우려에 맞서 대형 인프라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여유자금과 새로 배정된 예산까지 약 500조원을 올해 내내 집중 투입하겠다는 계획 아래 1분기에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 투자가 늘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무원은 이달 10일 리커창 총리 주재 아래 회의를 열고 확정된 인프라 투자계획을 신속하게 집행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지방정부에 방침을 하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경기하강 우려에 맞서 대형 인프라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여유자금과 새로 배정된 예산까지 약 500조원을 올해 내내 집중 투입하겠다는 계획 아래 1분기에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 투자가 늘 것으로 보인다.
19일 관영 글로벌타임스 등에 따르면 국가발전개혁위원회(NCRD)는 다수의 대형 인프라 건설 시기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기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위안다 NCRD 대변인은 1분기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인프라 투자 시기를 앞당기기고 14차 5개년 계획(2021~2025)에 명시된 102개 대형 프로젝트를 강력하게 추진해 1분기에 구체적인 성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102개 프로젝트는 도로, 철도, 교통 시스템, 공항, 원자력 발전소, 송전, 파이프라인 등에 두루 걸쳤다.
중국 중앙 정부는 지난해 말 1조4600억위안(약 273조7000억원) 규모 2022년 특수목적 채권 발행 한도를 설정해 지방 정부들에 배정했다. 이에 더해 지난해 4분기 발행한 1조2000억위안(약 224조9000억원) 등 총 500조원 가까운 예산을 마련해놓은 상태다.
닝지저 국가통계국장은 "선진국에 비해 중국의 인프라 투자 잠재력이 매우 크다"며 "질적 성장과 현대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확장적인 투자가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상하이의 경우 자유무역 시범지구 링강에 올해 고정자산 투자 규모를 지난해보다 20%가량 늘린 1200억위안(약 22조5100억원) 설정했다. 광둥성과 장쑤성, 허난성 등 11개 지역에서는 3조위안(약 562조8600억원) 규모 기반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은 1분기부터 건설 경기 붐을 일으키겠다는 목표다. 지난해 하반기 부동산 규제와 헝다 사태가 GDP에 악영향을 끼쳤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부동산 산업이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이른다.
쥐펑투자자문 딩전위 선임투자고문은 "사업 승인이 빨라지고 자금 여력이 충분한 환경에서 1분기 인프라 투자액이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인프라 투자가 확대되면서 1분기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은 4.0%일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국무원은 이달 10일 리커창 총리 주재 아래 회의를 열고 확정된 인프라 투자계획을 신속하게 집행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지방정부에 방침을 하달했다. 이날 국무원은 "현재 경제가 언덕을 넘는 고비에 있다"며 "소비와 투자를 확대하는 것으로 경제 하방 압력을 버티고 1분기와 상반기 경제 운영을 안정적으로 끌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인민은행도 경기 부양을 위해 최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2.95%에서 2.85%로 0.1%p 내렸다. MLF는 실질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의 예고편으로 오는 20일 LPR 인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지난해 연간 8.1%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로 2년 평균 5.1%에 그치고 지난해 4분기에는 4.0%로 2020년 2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가 올해 목표 성장률로 5%대를 제시할 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지만 이마저 지키지 못할 수 있다는 비관론이 팽배하다.
중국 국무원 싱크탱크 사회과학원은 지난해 말 2022년 경제성장률을 5.3%로 예상했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으로 중국의 기대 성장률을 종전 4.8%에서 4.3%로 0.5%p, 세계은행은 5.4%에서 5.1%로 0.3%p 내려 잡았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송지아 '짝퉁'에 스타일리스트도 놀라…"A급도 아닌 조악한 가품" - 머니투데이
- 15년간 함께 살다 사라진 남편…알고 보니 엉뚱한 사람이었다 - 머니투데이
- "엉덩이 수술했냐, 다 갈아엎었네" 악플에…이세영, 강경대응 예고 - 머니투데이
- 슈퍼챗으로만 연 6.4억 번 가세연…이보다 더 대박난 1위 유튜버는 - 머니투데이
- 금수저인데 우울, 오열한 모델…"아름다워 보여도 같은 사람일 뿐" - 머니투데이
- "저거 아이폰17 맞지?" 후면 디자인 깜짝…공개 앞두고 실물 유출 - 머니투데이
- [단독]미어터지는 감방, 22년만에 최악…국가배상도 눈덩이 - 머니투데이
- "추가금 48만원 더, 청소도 다 해놓고"…'펜션 갑질' 풍자한 이수지 - 머니투데이
- MZ들이 저축은행 줄 선 이유?…"여기가 적금 맛집이래" 매진 행렬 - 머니투데이
- "'술집서 남편 만났다'는 터무니없는 말"…업소녀 루머에 칼 빼든 소희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