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가족리스크' 李·尹과 차별화 되나..안설희 박사 내일 귀국
이범수 입력 2022. 01. 22. 21:21 수정 2022. 01. 22. 21:31기사 도구 모음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의 딸 안설희 박사가 오는 23일 귀국한다.
미국 UC샌디에이고 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안 박사는 지난달 소속 연구팀이 발표한 오미크론의 전염성 연구 결과물이 뉴욕타임스(NYT)에 실리면서 주목받았다.
활동 여부를 떠나 안 박사의 귀국을 통해 '가족 악재'에 시달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차별화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부울경 일정’ 安, 인천공항서 마중 예정
오미크론 연구 결과물, 뉴욕타임스 실려
지난해 아버지와의 일화 공개하기도
안철수 부산 일정 조정 뒤 공항으로 마중나갈 듯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의 딸 안설희 박사가 오는 23일 귀국한다. 미국 UC샌디에이고 대학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안 박사는 지난달 소속 연구팀이 발표한 오미크론의 전염성 연구 결과물이 뉴욕타임스(NYT)에 실리면서 주목받았다.
안 후보는 22일 경남 진주에서 열린 지지자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딸의 귀국 소식을 확인하며 공항으로 마중을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 후보는 오는 24일까지 부·울·경 일정이 예정돼 있다. 이 때문에 부산 일정을 일부 조정한 뒤 비행편으로 잠시 인천공항 마중을 다녀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안 후보는 코로나19로 인한 자가격리 규정에 따라 딸이 당장 선거운동을 함께하지는 못할 것이라면서도 “첫 열흘 정도 집에 있게 될 텐데, 어쩌면 줌이나 온라인을 통해 사람들을 만나거나 강의를 하는 활동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본적으로는 설명절 가족모임에 참석하기 위한 귀국이지만, ‘가족 리스크’가 없는 후보라는 점을 내세우는 안 후보의 선거 전략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국민의당 측 설명이다.
활동 여부를 떠나 안 박사의 귀국을 통해 ‘가족 악재’에 시달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차별화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안 후보는 이날 지지자들과의 간담회에서도 “우리 아이가, 제 딸이 살아갈 우리나라가 좀 더 좋은 삶의 틀을 가져야 하지 않나 하고 지금 그것을 하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안 박사는 UC샌디에이고 로미 아마로 교수팀에 속해있다. 지난해 12월 안 박사가 속한 아마로 박사팀의 코로나19 관련 연구가 지난해 12월 소개되며 주목을 받았다.
당시 뉴욕타임스를 보면 뉴욕타임스는 ‘작은 물방울 속 코로나바이러스’(The Coronavirus in a Tiny Drop)이라는 기사를 통해 안설희 박사가 속한 연구팀의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이 연구가 델타 및 오미크론 변이가 왜 더욱 광범위하게 퍼질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며 연구팀의 성과를 소개했다.
이어 “이 연구는 공기 중 부유하는 작은 물 입자 내에서 바이러스가 어떻게 생존하는지 보여주는 새로운 시뮬레이션이다. 안 박사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열리는 시뮬레이션을 주도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연구팀은 0.25㎛(μm=100만분의 1m) 크기의 가상 에어로졸을 만들어 바이러스를 주입하고 관찰, 오미크론 단백질이 델타 단백질보다 양전하를 더 띠기 때문에 전염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안 박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수학·화학 복수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고, 이어 지난 2018년에는 스탠퍼드대에서 이론화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안설희 “아버지와 같은 분이 정치를 해주셔서 감사한 마음”
지난해 16일 안 후보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안 박사와의 화상 대화를 공개하기도 했다.
당시 안 박사는 ‘딸로서 아버지가 정치인이어서 불편했던 점은 없었냐’고 안 후보가 묻자 “아버지가 비판을 받고 낙선하실 때 제일 마음이 아팠다”면서 “딸로서는 마음이 무겁지만, 대한민국 청년으로서 아버지와 같은 분이 정치를 해주셔서 감사한 마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안 박사는 “아버지와 같은 분들이 더 정치를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안 박사는 아버지와의 일화도 언급했다.
안 박사는 “힘들 때 부모님께 전화하면 ‘너무 힘들면 그만둬도 된다’고 말씀하셨지만, 나중에 후회하는 게 싫어 끝까지 해냈고, 덕분에 성숙한 학자가 될 수 있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릴 적부터 별로 간섭하지 않으셨다”면서 “다만 ‘하고 싶은 일을 하되 그 분야에서는 최고가 돼라’는 말씀을 들었고, 힘들 때마다 마음에 새겼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신문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팔·다리 4개인 아기 탄생…‘신의 화신’ 불렸지만, 부모는 의사 고소
- “이 여자 공짜” 클럽하우스 모여 성희롱…인도의 처참한 현실
- 마산 50대 주민, 굴찜 먹다 천연진주 발견…가치는?
- “한강서 시신 떠내려와”…외국인 남성 숨진 채 발견
- “담뱃불 얼굴에, 식초 먹이고” 10대 여학생들 원룸·모텔서 잔혹한 폭행 피해
- 할리우드에서 살아있는 말로 ‘낙마씬’ 찍는 방법[이슈픽]
- 간병인 폭행에 싹싹 빈 말기암 노인…“가슴 찢어져”(영상)
- “넷플릭스 스타, ‘가짜 샤넬’ 사과문”…송지아, 외신도 주목
- “짐승이나 하는 짓”…몽골 여중생 폭행 가해자들 호통 친 판사
- 출근 안 하는 것도 부러운데… 재택근무, 월급도 더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