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전의 마법사 전자전기(하) [밀리터리 동서남북] 

이종윤 입력 2022. 1. 22. 23:52 수정 2022. 1. 23. 10:3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EA-18G 그라울러. 모의 공중전에서 F-22를 요격했고 요격한 EA-18G 그라울러 512호기에 F-22 가상 격추마크(좌상)가 그려졌다. 날개에 탑재된 AN/ALQ-99F(V) 재밍 포드(우하). 그라울러 전자전기는 전자전 능력을 갖춘 AN/APG-79 AESA 레이더를 사용하지만 전자전 체계 핵심은AN/ALQ-99F(V) 재밍 포드다. 이 재밍 포드는 EA-18G 그라울러의 주익 아래 좌우에 3개씩의 하드 포인트 중에서 아웃보드 스테이션을 제외한 4개의 하드 포인트와 동체 아래 센터 스테이션을 포함해 최대 5개의 AN/ALQ-99F(V) 재밍 포드를 탑재할 수 있다. 미 해군은 2009년까지 총 85대 도입을 결정한 후 2014년 12대 추가를 마지막으로 135대의 EA-18G 그라울러 전자 공격기를 도입했다. 스트라이크 패키지 즉 다수의 전투기로 편성된 공격편대군의 생존에 필수적인 항공기로 보통 2대의 EA-18G 전자전기가 동원된다. 사진=미 해군·내셔널 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
■EA-18G 그라울러, 모의 공중전에서 최계 최강의 스텔스기 F-22 랩터를 격추
미군의 핵심적인 전자전기 EA-18G 그라울러의 공중전 능력은 강력한 전자전 재밍 능력을 바탕으로 한다.

2007년 2월에 F-22A 랩터와 치른 모의 공중전에서 전자방해로 랩터의 레이더를 피해 접근하였고 F-22가 AIM-120을 발사했지만 전파방해로 미사일을 무력화시키고 CATM-120 훈련탄을 사용해 F-22를 격추했다.

2001년 900억달러의 비용이 투입된 EA-18G 그라울러 개발 사업은 2003년 12월에 미 해군이 보잉사와 EA-18G의 개발과 생산 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3년간 지속적인 시험이 진행되었고 지난 2006년 8월 15일에 첫 비행에 성공한다. 2007년에는 미 국방성은 EA-18G의 초도 저율 생산(Low-Rate Initial Production)을 승인하였으며 2008년 테스트 비행을 마지막으로 2009년부터 미 해군 VAQ-129 Vikings 전자전기 조종사 양성 비행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전자전기의 공격 장비는 전투기와 적의 재밍 대상 레이더와의 거리에 따라 재밍 방법과 재밍 출력 세기가 매우 차이가 난다. 일반적으로 전자전기들이 먼 거리에서 적 방공망을 전자적으로 방해하는 스탠드 오브 재밍(Stand Off Jamming) 즉 원격지원재밍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반면 EA-18G 전자전기는 △'원격지원재밍'방식뿐만 아니라 △적진 깊숙이 침투해 근접해서 실시하는 '전방지원재밍' △'호위지원재밍'이 모두 가능하다. 즉 근거리·중거리·장거리 레이더 방공망 재밍이 가능하다.

다른 전자전기와 달리 AGM-88 함(HARM) 대레이더 미사일을 탑재하고 적 방공망 제압 및 파괴와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이 가능해 공중전까지 수행할 수 있다.

적의 통신을 교란이 가능해 이라크전 당시 EA-18G 전자전기는 통신방해장비를 활용, 휴대폰과 같은 통신장비를 기폭장치로 사용하는 급조폭발물의 폭발을 저지시키기도 했다. 다재다능한 현존 최강의 전자전기로 평가받는다.

미 해군이 해상 시험장 지원을 위해 도입한 걸프스트림 G550 기반 지원기. C-130H 컴패스 콜, 보잉 EA-18G 그라울러, F-16 CJ는 미국의 전자전기 삼총사라고 불렸다. 컴패스 콜이 적의 장거리 지대공 레이다를 전파방해하면, F-16CJ가 150km까지 접근해서 AGM-88 함 대레이더 미사일을 발사한다. 미공군은 EC-130H가 노후함에 따라 주요 전자전장비를 해체해 걸프스트림 G550 비즈니스제트기가 기반인 EC-37B로 교체할 계획이다. 사진=미 해군·내셔널 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
EA-18G 그라울러, 핵심장비 ALQ-218(V)2·AN/ALQ-99F(V) 재밍 포드→ NGJ-MB로 진화 중
전자전 장비는 상대국 무기체계의 전파 정보를 알아야 방해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안에는 장비를 개발한 국가의 첨단 감시, 정찰 능력이 모두 들어가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중요한 장비다.​
EA-18G 그라울러 전자전기에 들어간 ALQ-218(V)2 윙팁 리시버와 AN/ALQ-99F(V) 재밍 포드 등 장비는 실전을 바탕으로 한 축적된 노하우가 담겨있어 단순한 하드웨어만의 가치로 평가하기 어렵다.

하드웨어는 당대 미국의 최첨단 전자기술력이 집약되었을 뿐 아니라 탑재된 소프트웨어는 대외비가 담긴 정보의 집약체로 미국의 땀과 노력 희생이 축적돼있는 결정체로 평가된다.

첨예한 첩보·전자·사이버전 등에 의해 상대국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노출되면 일정 부분 무력화를 피할 수 없다.

이때문에 강한 신뢰와 보안에 대한 제도적 협약과 한 단계 높은 비교 우위·진입장벽 확보 없이는 자유진영 동맹국이라 해도 이러한 장비의 판매가 제한되는 이유로 해석된다.

현재까지 그라울러의 유일한 구매국인 호주는 전자전 포드에 대한 미국의 보안통제를 준수(위반 시 미국법을 적용받는다는 의미)하고 미군의 호주 주둔기지 설치를 허용하고 있다.

미국은 이러한 전자전 항공기 장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차세대 전자전 포드 개발사업이 순항 중이다. 첨단 차세대 NGJ-MB(Next Generation Jammer-Mid Band)장비 개발 프로젝트에 박가를 가하고 있다. 호주도 NGJ개발에 자금을 투자한 공동개발국 지위를 가지고 있다.

미 해군에 의하면 이미 미국 메릴랜드 파툭센트리버 해군항공기지에서 차세대 전자전 장비, 통칭 'NGJ-MB' 비행테스트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산 전자전기 개발이 어려움을 겪는 사이 주변국인 일본은 전자전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0년 12월 일본 방위장비청은 가와사키 중공업과 150억엔 한화로 1567억원에 자국산 C-2 수송기를 개조해 국산 전자전기와 비슷한 원격지원재밍 전자전기를 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 사진=일본 항공자위대·내셔널 인터레스트(national interest)
■한국의 전자전기, 군의 소요검증을 통과하지 못해 좌초 위기
우리 군이 전자전기 도입을 서두르는 것은 북한의 촘촘한 방공망 구축 때문이다.

미 중앙정보국(CIA)이 북한의 방공망 밀도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를 한 바 있다. 북한은 6·25 전쟁 중 공군력 붕괴로 막대한 공습 피해에 당한 공포의 트라우마가 있어 한미 연합 공군 전력 저지를 위해 평양 일대에 4중의 방공체계를 구축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보유한 지대공미사일은 △SA-5(고고도), 사거리 150~300㎞ △SA-2(중·고고도) 사거리 45㎞ △SA-3(저·중고도) 사거리 3.5~35㎞의 지대공미사일 등이다. SA-5는 40여기, SA-2는 180여기, SA-3는 140여기의 발사대를 각 실전 배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군은 전방지역과 동서부지역에 SA-2, SA-5 등 지대공 미사일을 배치하고 평양지역에는 SA-2와 SA-3 지대공 미사일, 고사포 등을 집중 배치하고 있다.

북한의 기존 방공미사일 체계는 S-75(고고도용), S-200(중고도용), S-125(저고도용), SA-6(저고도용) 등 구소련 시절 생산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지난해 10월 1일 북한매체는 보도를 통해 일명 ‘신형 반항공(反航空) 미사일’ 시험발사가 9월 30일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이동발사차량(TEL)에서 발사된 지대공 미사일로 러시아 S-400·500급의 이중 부스터 추진방식의 사거리 400~600㎞ 지대공미사일을 개발, 방공 미사일 전력을 강화 중인 것으로 평가된다.

이 밖에 북한은 SA-7(최대사거리 3.7㎞), SA-16(4.5㎞) 등 휴대용 지대공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단거리 자동추적 방식으로 전투기 등 표적에서 적외선을 감지해 추적한다. 평양지역과 최전방 전투부대에 주로 배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의 적외선 추적 유도탄은 탐색범위 내에서 가장 큰 적외선 신호를 추적, 항공기 대신 기만용 섬광을 쫓게 되지만 북한이 최근 2∼3년 사이에 실전배치한 중적외선 유도탄은 섬광탄에 속지 않고 계속 항공기를 추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사시 이에 대응해 2019년부터 진행 중이던 국산 전자전기 개발사업은 2020년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실시한 소요분석 결과, 한반도 유사시 전장에서 전자전기의 효용성이 낮다는 평가가 나와 군의 소요검증을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자전기가 없는 우리 군은 한미연합연습 때마다 미해공군의 전자전기 지원을 받는 상황에서 당시, 신형 백두정찰기인 백두 2차 사업을 통해 국내에서 특수임무기 개발에 대한 기반이 마련된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관련 기술 개발로 해외 시장을 바라보던 국내 방위산업계도 실망하는 분위기로 전해졌다.

이런 결과에 대해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은 전자전기, 재밍과 같은 소프트 킬 전력 확보에 인색하다"며 "전자전기는 현 정부가 진행 중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도 필수적인 무기체계'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사진은 미 공군 전자전기인 EC-130J. 재밍 효과 REA 장비의 일반적인 구성은 △적의 신호를 수집하고 방향을 탐지하는 수신 및 방향 탐지부 △재밍용 고주파 신호와 재밍 신호를 만드는 고주파신호발생부(Exciter) △고출력 고주파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송신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신호발생부(Exciter)는 재밍 대상의 레이더 고주파 신호를 정확하게 주파수와 위상이 일치하도록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고주파기억장치(DRFM,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가 많이 사용된다. 고주파 신호 증폭기로는 △진행파관 증폭기(TWTA) △마이크로웨이브 전력증폭기(MPM) △반도체 증폭기가 많이 쓰인다. 가장 효과적인 재밍 Exciter 중 하나인 DRFM은 상대방의 고주파 송신 신호를 주파수와 위상 측면에서 정확하게 모의해서 필요한 시간에 신호를 재현할 수 있다. △광대역 고주파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광대역 DRFM도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고 △협대역 DRFM 구조는 여러 개의 협대역 DRFM으로 구성되며 각 협대역 DRFM은 적의 위협 레이더의 신호를 개별적으로 저장한 후에 적시에 레이더 신호를 재 방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진=미 공군 제공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