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누가 아이 안 낳는지 밝혀졌다"..70년대생 직장인 여성 20% '무자녀'

문가영 2022. 1. 23. 17: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황지수 교수 분석
고학력 직장인 출산율 뚝
"현금보다 공공보육 늘려야"
[사진 = 연합뉴스]
1970년대 이후 출생부터 고학력·직장인 여성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한 것이 통계적으로 확인됐다.

황지수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는 최근 논문 '더 늦게, 더 적게, 아예 안 낳기: 대한민국 최근 동일집단(세대)별 출산 추세'를 통해 1956~1975년 출생한 여성의 생애 궤적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 1975년생 직장인 여성 가운데 40세까지 자녀를 낳지 않은 비율은 21.9%에 달했다. 직장에 다니지 않는 여성은 40세까지 자녀가 없는 비율이 13.8%에 불과했다. 이는 1960년생 직장인 여성 6.17%(일하지 않는 여성 5.33%)만이 40세까지 아이를 낳지 않은 것과 비교하면 15년 새 3.5배 이상 급격히 증가한 수준이다.

같은 기준으로 1960년생과 1975년생 직장인 여성의 출산율도 1.89명에서 1.49명으로 21.35% 급감했다. 일하지 않는 여성의 출산율이 1.9명에서 1.67명으로 11.74% 감소한 데 비해 2배 가까이 빠른 속도다.

교육 수준을 기준으로 보면 1970년대생은 고학력일수록 결혼을 하고도 출산을 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했다. 황 교수에 따르면 1966~1970년대생 기혼 여성(이혼 포함) 중 자녀가 없는 여성 비율은 고졸(2.55%), 대졸(2.18%), 대학원 졸업(2.03%) 등으로 교육 수준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71~1975년생은 고졸(5.65%), 대졸(6.37%), 대학원 졸업(10.52%) 등 여성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 후에도 자녀를 낳지 않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여성이 학업 및 커리어와 가정을 병행하기 어려운 환경이 출산율을 끌어내린 요인 중 하나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단순히 보육 및 교육에 드는 비용 문제라면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고학력·직장인 여성의 출산율이 더 높게 나타나야 하나 실제 통계는 이와 반대로 나타난 셈이다.

황 교수는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명시적 비용이 높아진 동시에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에 따라 결혼·출산 시 커리어를 포기해야 함으로써 감당해야 하는 기회비용도 높아졌다"며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금 지원보다 공공보육·교육 서비스를 확충해 부부 양쪽이 커리어와 가정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유효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가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