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남아돌자… 제주도, 작년 풍력발전기 64번 껐다

제주/이기우 기자 2022. 2. 9.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18일 제주도 표선면 가시리 풍력발전단지에선 3MW(메가와트)급 풍력 발전기 10대가 분당 16번꼴로 회전하며 전력을 생산하고 있었다. 평균 초속 7.2m 바람이 연중 부는 이 발전단지는 한 해 6.6GWh(기가와트시) 전기를 생산한다. 2만 가구가 1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하지만 가시리를 비롯해 제주도 내 풍력 발전기들은 작년 한 해 64번이나 멈춰 섰다. 고장이 아니라 전기가 남아돌아 풍력 발전기를 강제로 세운 출력제어 조치였다. 전력은 공급이 부족해도 문제지만 넘쳐도 주파수와 전압이 급변동해 전력망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2018년까지 연 14~15회 정도였던 제주 풍력발전 강제 중단 회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급증한 2019년 46회, 2020년 77회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태양광 발전 출력 제어 조치도 시작됐다.

한국남부발전이 2004년부터 운영 중인 제주도 한경풍력발전단지 전경. 남부발전은 이곳에서 1.5MW 풍력발전기 4기를 설치해 전기를 만들고 있다./한국남부발전

‘전력섬’ 제주도에서 벌어진 생산한 전력을 담아놓을 설비도, 육지로 보낼 송전망도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묻지마식’으로 풍력·태양광 발전단지 건설을 추진한 이면이다. 날씨가 맑고 바람도 많이 부는 날엔 풍력발전 셧다운이 더 잦아진다.

태양광·풍력은 제주도 전체 발전 설비의 38%, 발전량의 18%를 차지한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100%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하지만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커지면서 2034년 제주 풍력발전 출력제어 횟수는 326회로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남는 전력을 육지로 보내기 위해 2300억원을 투자해 해저 송전선을 건설 중이지만 출력제어를 막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급기야 제주도는 올해부터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제한하는 ‘신재생에너지 총량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한국전력거래소 제주본부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가 제주도 전체 발전설비의 절반 가까이 되지만 필요할 때 바로 동원할 수 있느냐는 관점에서 보면 사실상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제주도 사례는 거대한 전력섬인 우리나라가 마주할 미래를 미리 보여주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CFI 2030 추진계획 실현과 당면 과제’ 보고서를 보면 2040년까지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5%까지 늘리는 ‘4035계획’이 진행될 경우 연간 출력제어는 전체 발전량의 12.1%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주헌 동덕여대 교수는 “한국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계속 늘리다 보면 제주도와 같은 문제가 전국적으로 일어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