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청년 '마음건강'부터 '주거비용'까지 몽땅 챙긴다

헬스경향 양정원 기자 2022. 3. 28. 11: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2025 종합계획’ 수립·시행…도약·구출·기회에 방점
오세훈 서울시장 “희망 노래하는 ‘청년서울’ 만들 것”
관련예산·참여기회 대폭 늘려…자립기반 강화 목표

서울시는 관내 거주하는 만19~39세 청년 가운데 심리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 모집, 평소 불안·우울감·무기력감을 경험하고 있는 청년들의 마음건강을 돌보기 위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최근 헬스경향이 실시한 ‘2022 서울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 10명 중 8명(78.1%)이 우울증 등 마음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청년 가운데 16.3%는 매우 심각한 우울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시는 ‘청년마음건강 심층상담’ 지원대상자를 2021년(2000명)보다 3배 이상 늘어난 7000명으로 확대모집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관내에 거주하는 만 19~39세 청년 가운데 심리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 3월 24일부터 30일까지 모집하고 있다. 평소 불안·우울감·무기력감을 경험하고 있는 청년들의 마음건강을 돌보기 위한 사업으로 상담과 함께 고위기군에 대한 심리치유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지원대상자는 자가 검진도구를 통해 스스로 마음건강의 상태를 일반·준위기·고위기군으로 분류하고 맞춤형 지원을 받게 된다.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마음건강관리를 위해 디지털앱을 활용한 방안도 시도한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최근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청년행복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시행에 돌입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청년종합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300만 서울청년 스스로 경쟁력을 키워 도약하고 경제적 부담으로 기회를 포기하지 않도록 종합적인 지원에 나서겠다”고 운을 뗐다.

2016년 수립한 청년종합계획(2020 서울형 청년보장)이 취약계층 청년에 초점을 뒀다면 오세훈표 청년종합계획은 청년 대다수가 느끼는 현실적 고민·불편,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경함할 수 있는 안을 더했다.

특히 오세훈 시장이 핵심 화두로 삼은 ‘공정과 상생의 청년서울’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이라는 평가다. 서울시는 이미 2021년 7월 일자리·주거 등 흩어져 있던 청년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콘트롤타워 역할수행부서(국 단위)로 미래청년기획단을 신설해 관련 정책을 주도면밀하게 추진했다.

오세훈 시장은 “청년이 꿈을 잃은 사회는 미래가 없다”며 “2030 청년세대가 희망을 갖고 다시 봄을 노래할 수 있는 ‘청년서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스스로 경쟁력을 키워 ‘도약’하고 경제·사회적 자립으로 가는 이행기에서 겪는 불안으로부터 ‘구출’함으로써 다양한 ‘기회’를 갖도록 이번 청년종합계획을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도약분야에서 가장 시급한 일자리문제 가운데 기업-청년 간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청년취업사관학교를 권역별로 10개소 이상 조성한다. 핀테크 등 취업 유망분야 연계형 민간일자리비율도 높인다. 또 청년수당은 단순 현금지원에 그치지 않도록 신청시점부터 맞춤지원을 펼치고 일하는 청년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구출분야에서는 ‘서울 영테크’를 통해 올해 1만명(2021년 대비 8배 확대), 2025년까지 총 5만명까지 확대함으로써 체계적 자산형성을 돕는다. 특히 청년월세지원은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지원대상을 5배 이상 확대한 데 이어 올해부터 당초보다 10배 늘어난 5만여명으로 확대한다. ‘희망두배 청년통장’도 2021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하고 올해 부양의무자 소득기준을 없애 문턱을 더 낮춘다.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주택은 2025년까지 5만5000호 이상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기회분야에서는 교통비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올해 4월부터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20%를 교통마일리지로 제공한다. 하반기부터는 이사비 40만원, 온라인콘텐츠 이용권 등도 지원한다. 서울시가 중앙정부와 추진하는 1800여개의 청년정책을 온라인으로 한 번에 검색·신청하는 ‘청년몽땅정보통’도 4월 중 개시한다.

한편 서울시는 시정 전반에 청년들의 시각을 담기 위해 참여기회도 확대한다. 청년위원이 10% 이상 참여하는 청년친화위원회를 현재 27개에서 올해 중 150개까지 5배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서울시 전체 위원회(238개)의 65%에 달하는 비율이다.

참여채널도 다변화한다. 토론배틀로 청년들이 바라는 정책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우수정책은 실제 시의 정책으로 채택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눈길을 끌었던 ‘청년정책 대토론회’를 정례화한다.

또 온라인 참여플랫폼도 새롭게 구축한다. 올해 10주년을 맞는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는 정책제안과 함께 시정 전반의 모니터링, 개선안 마련까지 모든 단계에 청년참여를 확대해 운영을 내실화한다는 방침이다.

오세훈 시장은 “청년이 꿈을 잃은 사회는 미래가 없다”며 “불공정·불평등을 온몸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2030 청년세대가 희망을 갖고 다시 봄을 노래할 수 있는 ‘청년서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헬스경향 양정원 기자 7toy@k-health.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