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테마주 겨냥한 정은보 금감원장 "상장사 인수 중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엄중 조치할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감독원장이 상장기업 인수를 통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본시장의 위법행위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법적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원장은 7일 자본시장 관련 임원회의를 열고 "최근 상장기업 인수를 통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본시장을 악용함으로써 시장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투자자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위법행위 발견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엄중하게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장이 상장기업 인수를 통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본시장의 위법행위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법적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쌍용차 인수전을 둘러싸고 연관 기업들의 주가 급등락 현상이 반복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정 원장은 7일 자본시장 관련 임원회의를 열고 “최근 상장기업 인수를 통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자본시장을 악용함으로써 시장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투자자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위법행위 발견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엄중하게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특정 테마주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같은 차원에서 한국거래소 등 유관 기관과의 체계적 협력과 관련 부서 간 긴밀한 공조를 통해 조사역량을 집중하겠다”라며 “특히 불공정거래 혐의가 발견되는 경우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과 협의해 철저하게 조사하고, 발견된 위법행위에 대해서는 엄중조치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불공정거래 사례로는 ▲부실기업 인수를 통한 신사업 투자 등 호재성 미확인 정보의 공시 또는 언론보도로 사업내용을 과장 홍보하여 주가를 올릴 가능성 ▲투자조합·사모펀드 등의 상장기업 인수과정에서 취득한 미공개 정보이용 가능성 등을 꼽았다.
또 정 원장은 “연관 기업을 공시심사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해당 기업이 제출하는 증권신고서·정기보고서·주요사항보고서 등의 제반 공시서류에 중요 사항 기재 누락·허위기재 여부 등을 면밀하게 심사하는 한편, 해당 기업의 감사보고서를 집중적으로 심사해 필요시 신속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당부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전자, IBM 차세대 ‘파워칩’ 파운드리 계약… 성숙 공정서 잇단 성과
- 현대제철이 그룹 지배구조 개편 핵심주?… 외국인은 40일 연속 순매수
- 입속 세균, 장 거쳐 뇌까지 영향…파킨슨병 경로 새로 밝혔다
- KB證 “현대로템, 중동 전차 공급 계약 추가로 나올 듯… 목표 주가 20%↑”
- 韓 프리미엄 위스키 시장에서 존재감 키우는 대만
- 건설사들, 3년 6개월 만에 빚 16조 넘게 늘었다
- 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조지아 구금 근로자 다수, 첨단 배터리 테스트 작업 중이었다”
- ‘꿈의 배터리’ 누가 선점할까… 상용화 서두르는 한·중·일
- “백신 맞았는데 왜 나만 코로나?”…감염 취약자 가리는 방법 나왔다
- 美의회조사국 “조지아주 구금사태로 한국 내 한미관계 우려 제기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