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산 29억원이면 '상위 1%' 부자..가구주 평균 63.5세

최정석 기자 2022. 4. 7. 20: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순자산 상위 1% 기준이 29억원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7일 나왔다.

2021년 순자산 상위 1% 가구 기준선은 29억2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상위 1% 가구의 평균 총자산은 51억원이었다.

상위 1% 가구 10곳 중 9곳(88.5%)은 자기 집에 살고 있었으며, 해당 주택 가격은 평균 15억6000만원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산 대부분은 부동산에 쏠려
월평균 소비금액 479만원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지난해 우리나라 순자산 상위 1% 기준이 29억원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7일 나왔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이날 발간한 ‘2022 대한민국 상위 1% 보고서’에서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국내 가구의 순자산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이다.

2021년 순자산 상위 1% 가구 기준선은 29억2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기준선(26억1000만원)보다 11.9%(3억1010만원) 오른 수치다.

순자산 상위 1%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63.5세였다. 연령대 분포는 60대가 34.6%로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50대 25.3%, 70대 21.4%, 40대 9.9% 순이었다. 50대 이상의 비중이 약 90%를 차지한 것이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제공.

순자산 상위 1% 가구 중 72%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었다. 가구원 수는 평균 2.8명으로 2인 가구(42.9%)가 가장 많았다.

상위 1% 가구의 평균 총자산은 51억원이었다. 평균 순자산이 46억원, 평균 부채는 4억 7000만원이었다. 부채 비율은 9.2%로 전체 가구 평균(17.5%)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자산 구성 현황은 금융자산 17.8%, 실물자산 82.2%로 대부분 자산이 부동산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 가구 10곳 중 9곳(88.5%)은 자기 집에 살고 있었으며, 해당 주택 가격은 평균 15억6000만원이었다. 거주 주택의 전용면적은 약 40평에 해당하는 132.2제곱미터(㎡) 이상인 경우가 57.1%로 가장 많았다. 주택 종류는 아파트(77.5%)가 1위를 차지했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제공

상위 1%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평균 2억1571만원이다. 이 가운데 근로나 사업으로 얻는 인적 소득이 연 1억3136만원으로 60.9%를 차지했다.

처분가능소득 1억4966만원 중에서는 5746만원(38.4%)을 소비 지출했다. 나머지 9220만원(61.6%)은 저축했다. 월평균 소비 금액은 479만원이며 지출은 식비(140만원), 교육비(67만원), 주거비(56만원) 순으로 많았다.

순자산 상위 0.1% 기준선은 76억8000만원, 상위 0.5% 기준선은 38억7800만원으로 나타났다. 상위 5%와 10% 기준선은 각각 13억3510만원, 9억731만원이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