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의 초상[이은화의 미술시간]〈211〉
이은화 미술평론가 2022. 4. 21.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앤디 워홀은 코카콜라, 캠벨 수프캔, 브릴로 상자, 매릴린 먼로 등 미국을 상징하는 상품이나 스타를 그려 미국 팝아트의 선구자가 됐다.
1972년 그는 처음으로 정치적인 작품을 제작했는데, 바로 마오쩌둥의 초상화였다.
항상 정치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던 그가 왜 갑자기 중국의 정치인을 그렸던 걸까? 1970년대 초 워홀은 자신의 오랜 후원자였던 브루노 비쇼프베르거의 제안으로 20세기 가장 대중적이고 중요한 인물의 초상화를 제작하고자 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앤디 워홀은 코카콜라, 캠벨 수프캔, 브릴로 상자, 매릴린 먼로 등 미국을 상징하는 상품이나 스타를 그려 미국 팝아트의 선구자가 됐다. 1972년 그는 처음으로 정치적인 작품을 제작했는데, 바로 마오쩌둥의 초상화였다. 항상 정치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던 그가 왜 갑자기 중국의 정치인을 그렸던 걸까?
1970년대 초 워홀은 자신의 오랜 후원자였던 브루노 비쇼프베르거의 제안으로 20세기 가장 대중적이고 중요한 인물의 초상화를 제작하고자 했다. 처음에는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염두에 뒀지만 곧 생각을 바꿨다. 당시 마오쩌둥은 영웅과 독재자의 이미지를 동시에 갖고 있는 데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회주의 지도자로 떠오르고 있었다. 게다가 그의 초상사진은 세계 도처의 신문이나 잡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다. 워홀이 마오를 그리기로 결심한 건 1972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 최초로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을 때였다. 완강한 반공주의자였던 닉슨의 중국 방문은 워홀에게 큰 충격이자 작품의 영감이 됐다. 정치에는 “영원한 우방도 영원한 적도 없다”는 19세기 영국 정치가 파머스턴의 말도 떠올랐을 테다.
워홀이 선택한 이미지는 ‘마오 주석 어록’에 실린 흑백 초상화다. 휴대용으로 작게 제작된 이 책은 마오의 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문화대혁명 기간 중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휴대해야 했다.
워홀은 1972년부터 1973년 사이 10점의 다양한 마오 초상화를 제작한 뒤 이를 각각 수백 점의 에디션으로 복제했다. 이는 닉슨의 방중 뉴스 보도가 TV에서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되는 것에 대한 비유이기도 했다. 이렇게 미국에서 대량 생산되고 유통된 마오의 초상은 더 이상 위압적이고 영웅적인 정치인의 이미지가 아니라 코카콜라처럼 가볍고 먼로처럼 화려한 팝아트의 아이콘이 됐다. 어쩌면 워홀이 그리고자 했던 건 마오쩌둥이라는 유명인의 명성이었는지도 모른다.
1970년대 초 워홀은 자신의 오랜 후원자였던 브루노 비쇼프베르거의 제안으로 20세기 가장 대중적이고 중요한 인물의 초상화를 제작하고자 했다. 처음에는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염두에 뒀지만 곧 생각을 바꿨다. 당시 마오쩌둥은 영웅과 독재자의 이미지를 동시에 갖고 있는 데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회주의 지도자로 떠오르고 있었다. 게다가 그의 초상사진은 세계 도처의 신문이나 잡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다. 워홀이 마오를 그리기로 결심한 건 1972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 최초로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을 때였다. 완강한 반공주의자였던 닉슨의 중국 방문은 워홀에게 큰 충격이자 작품의 영감이 됐다. 정치에는 “영원한 우방도 영원한 적도 없다”는 19세기 영국 정치가 파머스턴의 말도 떠올랐을 테다.
워홀이 선택한 이미지는 ‘마오 주석 어록’에 실린 흑백 초상화다. 휴대용으로 작게 제작된 이 책은 마오의 사상을 전파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문화대혁명 기간 중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휴대해야 했다.
워홀은 1972년부터 1973년 사이 10점의 다양한 마오 초상화를 제작한 뒤 이를 각각 수백 점의 에디션으로 복제했다. 이는 닉슨의 방중 뉴스 보도가 TV에서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되는 것에 대한 비유이기도 했다. 이렇게 미국에서 대량 생산되고 유통된 마오의 초상은 더 이상 위압적이고 영웅적인 정치인의 이미지가 아니라 코카콜라처럼 가볍고 먼로처럼 화려한 팝아트의 아이콘이 됐다. 어쩌면 워홀이 그리고자 했던 건 마오쩌둥이라는 유명인의 명성이었는지도 모른다.
이은화 미술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위장 탈당-사보임 꼼수… 민주당내서도 “이렇게 정치해선 안돼”
- [단독]바이든 내달 20일 방한… 21일 尹과 정상회담 유력
- [광화문에서/한상준]마지막 기자회견 건너뛴 文 5년 뒤 尹은 달라야 한다
- “피해자 고소장, 경찰 거부땐 檢에도 못내… 구제받을 길 사라져”
- 180석 확보 나선 민주, 권은희 잡았더니 조정훈 이탈해 난감
- 송영길 “공천 배제, 이재명 복귀 막으려는 선제타격”… 내홍 격화
- 코로나發 임금 양극화… 대기업 연봉도 최대 1억 이상 차이
- [단독]통일정책비서관에 ‘北제재 연구’ 황태희 유력
- 자사고-외고 안 없앤다… 인수위, 현행 유지 추진
- [오늘과 내일/박중현]대한민국 포퓰리즘史 3대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