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종합]'타는 목마름으로' 시인 김지하 별세
이창환 입력 2022. 05. 08. 20:16 수정 2022. 05. 08. 20:21기사 도구 모음
'타는 목마름으로', '오적' 등의 작품을 남긴 김지하 시인이 8일 별세했다.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미학과를 나와 1969년 '시인'지에 '황톳길', '비' 등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유신시대 대표적인 저항시인으로 활동한 고인은 1970년 풍자시 '오적'으로 구속되는 필화를 겪었다.
1975년 아시아·아프리카작가회의 로터스상과 1981년 국제시인회 위대한 시인상과 브루노 크라이스키상 등을 받았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타는 목마름으로’, ‘오적’ 등의 작품을 남긴 김지하 시인이 8일 별세했다. 향년 81세다.
시인은 최근 1년여 동안 투병 생활을 한 끝에 이날 오후 강원도 원주시 자택에서 타계했다.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미학과를 나와 1969년 ‘시인’지에 ‘황톳길’, ‘비’ 등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1970년 12월 첫 시집 ‘황토’를 출간했다. 유신시대 대표적인 저항시인으로 활동한 고인은 1970년 풍자시 '오적'으로 구속되는 필화를 겪었다.
1974년에는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돼 그해 체포된 후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뒤 1980년 형 집행정지로 석방됐다.
1980년대 이후 후천개벽의 생명사상을 정립하는 데 몰두했고,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상상력으로 많은 시를 쏟아냈다.
1991년 명지대생 강경대 씨가 경찰에 맞아 숨지고 이에 항의하는 분신자살이 잇따르자 조선일보에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우라'는 칼럼을 기고해 논란을 불러오기도 했다. 이후 진보 진영에서 '변절자'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73년 소설가 박경리의 딸 김영주와 결혼했다.
1975년 아시아·아프리카작가회의 로터스상과 1981년 국제시인회 위대한 시인상과 브루노 크라이스키상 등을 받았다.
정지용문학상, 대산문학상, 만해문학상 등을 받았으며 노벨문학상과 노벨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빈소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이재명, '노룩악수' 논란에 "오늘은 화장실서 손 씻기도 전에 주먹악수…그때는 미안"
- "흠뻑쇼에 늘씬한 아가씨들 전부 집결"…버스 업체 단체문자 논란
- 숙명여대 동문들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률 최대 54.9%…즉각 조사해야"
- 인노회서 나홀로 구속 면한 이유 묻자, 김순호 경찰국장 "…"
- 장모님치킨, ‘담배꽁초 치킨’ 논란…점주 결국 폐업
- 그린란드 빙하 녹자 '보물찾기' 나선 억만장자들…"수억대 자원 묻혀있다"
- 고갈시점 더 빨라지는 국민연금 … "2092년 누적적자 2경2650조원"
- '1박에 30만원' 폭우 틈타 가격 올린 숙박업소에 원희룡 "분노한다"
- "반성하고 있다" 손정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초상화 내건 이유
- "주말엔 부업으로 밥값 벌어요"…물가 폭등에 '투잡' 택하는 직장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