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스킴플레이션[해시태그 경제 용어]
입력 2022. 05. 14. 06:01기사 도구 모음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은 '인색하게 굴다'는 의미의 스킴프(skimp)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이다.
미국 연방의회 경제위원회의 앨런 콜 선임 이코노미스트가 만들어 낸 신조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스킴플레이션을 부추긴다.
콜 이코노미스트는 "스킴플레이션 현상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지만 정부가 산출하는 물가 통계에선 이런 현상이 반영되고 있지 않아 문제"라고 지적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해시태그 경제 용어]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은 ‘인색하게 굴다’는 의미의 스킴프(skimp)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이다. 미국 연방의회 경제위원회의 앨런 콜 선임 이코노미스트가 만들어 낸 신조어다. 물가가 상승했지만 오히려 상품이나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가령 과자 가격은 그대로인데 내용량이 은근슬쩍 줄었다든지 가구를 주문하고 수개월간 배송을 기다리는 경우 등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스킴플레이션을 부추긴다. 원자재 또는 부품 수급, 물류에 차질이 생기면서 소비자들은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상품을 구매하지만 오히려 불편을 겪고 있는 셈이다. 콜 이코노미스트는 “스킴플레이션 현상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지만 정부가 산출하는 물가 통계에선 이런 현상이 반영되고 있지 않아 문제”라고 지적했다.
#밥값 #물가상승 #코로나19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 한경 비즈니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경비즈니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본소 제기 없이 장기 방치된 가압류, 어떻게 해결할까[최광석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 [숫자로 본 경제] 생애 첫 내 집 마련, 취득세 200만원 감면
- ‘자도자도 피곤한 이유’ 코골이, 어떻게 치료할까
- ‘서울 집값 계속 오르고(41.1%) 지방 하락할 것(53.8%)’ [2030 서베이_부동산]
- [EDITOR's LETTER] Fed의 빛과 그림자, 그리고 한국은행의 역할
- [EDITOR's LETTER] Fed의 빛과 그림자, 그리고 한국은행의 역할
- 네이버 vs 카카오, 페이 전쟁 승자는 누구
- [숫자로 본 경제] 생애 첫 내 집 마련, 취득세 200만원 감면
- ‘안전에 진심’ 동국제강, 안전보건에 401억원 투자
- 찰스 햄린부터 제롬 파월까지, Fed 수장들의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사'